SKT, '글로벌 AI기업' 선언…5년 뒤 AI 투자 3배 늘려 매출 25조원 달성
AI 개인 비서 에이닷 정식 출시…AI 투자 비중 33%로 상향
SK텔레콤이 ‘에이닷(A.)’ 브랜드를 앞세우고 통신을 넘어선 ‘글로벌 AI 기업’으로 변모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또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투자 비중을 2028년까지 5년 간 3배로 늘리고 매출을 25조원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26일 서울 중구 SKT타워 수펙스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인공지능 피라미드 전략’을 발표했다.
AI 피라미드 전략은 SK텔레콤이 글로벌 AI 컴퍼니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이다. AI 인프라, AIX(AI 전환), AI 서비스 3대 영역을 중심으로 산업과 생활 전 영역의 혁신을 골자로 한다. AI 얼라이언스 중심의 협력 모델로 이뤄진 피라미드 형태로 구성된다.
유영상 대표는 “AI 피라미드 전략은 새로운 산업 혁신을 만들어줄 주체이면서 SK텔레콤의 지향점인 ‘글로벌 AI 컴퍼니’를 실현해줄 열쇠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유영상 대표는 AI 피라미드 전략의 구체적인 실현을 위해 2028년까지 향후 5년간 AI 투자 비중을 33%로 높이겠다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지난 5년간 전체 매출의 12%쯤을 AI에 투자했다. 이를 3배로 끌어올려 매출 25조원 이상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AI 피라미드 하단은 AI 인프라 영역이다. SK텔레콤의 기술 역량을 집결됐다. AI 데이터센터, AI 반도체, 멀티LLM 등이 해당한다. SK텔레콤은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절감을 돕는 액침 냉각 시스템, 수소 연료전지 등 에너지 솔루션을 도입하고 AI 반도체 자회사인 사피온의 NPU, SK하이닉스의 HBM 등을 패키징해 더 높은 마진율을 내는 AI 호스팅 사업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AIX는 AI 전환을 위한 기술 브랜드로 통일을 말한다. 이에 SK텔레콤은 AI 기술 브랜드를 ‘에이닷엑스(A.X)’로, 자체 초거대언어모델 이름은 ‘에이닷엑스 LLM(A.X LLM)’으로 각각 확정했다.
특히 AI 개인 비서를 표방하는 에이닷은 베타 공개 1년쯤만에 정식으로 출시한다. 통화 요약과 캘린더 기능을 담은 ‘AI 전화’와 슬립테크(숙면 기술) 스타트업 ‘에이슬립’과 협업한 ‘AI 수면 관리’, 에이닷과 대화로 나만의 플레이리스트를 만드는 ‘AI 뮤직’ 서비스도 제공한다.
회사는 수십년간 축적한 데이터를 담은 자체 거대언어모델에 더해 앤트로픽, 오픈AI, 코난테크놀로지 등 굵직한 인공지능 플레이어와 공동전선을 구축, 다양한 라인업을 아우르는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AI 서비스도 대폭 강화하는 한편 얼라이언스는 강화한다. 우선 SKT AI 반도체 계열사 사피온은 연말 경쟁사 대비 연산 성능 2배, 전력 효율도 1.3배 우수한 추론용 칩 ‘X330’을 선보일 계획이다. 국내 데이터센터는 2030년까지 현재의 약 2배 수준으로 확대한다. SKT와 SK브로드밴드가 보유하고 있는 운영 역량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 등 해외 파트너들과 협력을 바탕으로 데이터센터 사업 글로벌 진출도 추진한다.
SKT는 모바일, 브로드밴드, 엔터프라이즈 등 주요 사업 전반에 인공지능을 접목해 생산성과 고객 경험을 혁신하고, 모빌리티와 헬스케어, 미디어, 애드테크 등 인접영역까지 AI 적용을 확장한다.
회사는 마케팅 및 고객센터에 콘택트센터(AICC) 등을 접목하고, 네트워크 인프라를 AI 기반으로 운영해 효율을 높인다면 약 20∼30% 이상 비용 절감이 기대된다고 소개했다.
유영상 대표는 “인공지능 관련 투자를 꾸준히 확대해 ’글로벌 AI 컴퍼니‘로 도약하겠다”며 “기술과 서비스로 고객을 이롭게 하고 산업의 생산성을 높여주고, 사회적 난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인애 기자 22na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