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은 총재 “고물가, 통화정책만으로 해결 어려워”
높은 생활비 탓에 인플레 둔화 체감 어려워 기준 금리 인하 시점은 7월 금통위서 논의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물가안정을 통화정책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구조개선과 정책당국과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물가 안정 목표(2%)로 수렴하기까지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18일 열린 ‘2024년 6월 물가 설명회’ 기자단담회에서 “인플레이션은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생활비 수준은 통화정책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 인플레이션은 지난해 초 5.0%에서 올해 5월 2.7%로 낮아졌지만 국민이 피부로 잘 느끼지 못하는 이유”라면서 “높은 생활비 수준을 낮추기 위해 어떠한 구조개선이 필요한지 고민해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행은 국민경제에 어떤 것이 바람직한지 제안할 수 있는 기관”이라면서 “물가 구조를 정확히 알리면서 특정한 상황에 이익을 보는 집단이 있고 손해를 보는 집단이 있는데 이걸 알아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한은이 발표한 ‘우리나라 물가 수준의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의 식료품, 의류, 주거 등 의식주 비용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00)을 크게 웃돌았다.
식료품과 의류 가격이 높은 건 낮은 생산성과 높은 거래비용 탓이다. 신선식품은 미국 등 주요 농업수출국과의 거리가 멀어 수출에도 한계가 있고 유통비용도 높다. 지난 1999년 39%였던 우리나라의 유통 비용률은 2022년 50%까지 상승했다.
의류 가격이 높은 것도 고비용 유통구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의류업에서 중간 유통을 줄일 수 있는 직매입 비중은 3%대 미국의 80% 이상과 비교된다.
여기에 주거비용도 높다. 우리나라의 소득 대비 집값 비율(PIR)은 OECD 국가 중 7번째다.
한편 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두고는 7월 이후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7월에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물가 추이와 대내외 여건을 살펴보고 판단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는 “7월 통화정책방향 회의 전엔 말하기 어렵다”면서 “물가 흐름이 지난 5월에 이야기한 경로와 같은 수준이지만 물가가 목표 수준에 수렴한 것이냐 하는 것은 다른 의견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물가는 지정학적 리스크, 기상여건 등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만큼 예상대로 물가에 수렴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면서 “수출과 내수 간 회복세에 차이가 있어 내수 측면에서의 물가 압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했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