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리인하 ‘깜빡이’…이창용 “적절한 시기 방향 전환 준비”
기준금리 3.50% 동결, 금통위원 전원 일치
한국은행이 물가 둔화세에 기준금리 인하를 논의할 분위기가 마련됐다고 밝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1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정례회의 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2.5%로 12회 연속 동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은 전원 일치로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금통위는 물가상승률 둔화 추세 지속 여부를 더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현재의 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하겠다 밝혔다.
이 총재는 “현 상황은 물가안정에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금리 인하 기대가 외환시장, 주택가격, 가계부채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가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정책 결정이 외환시장에 주는 영향이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이나 수도권 주택 가격, 가계부채 등 국내 금융안정에 대한 고려도 그에 못지 않다”며 “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금리 인하 시기를 결정할 것”이라 말했다.
이날 통방문에는 ‘기준금리 인하 검토’라는 직접적인 표현을 사용했다. 한은이 지난 2월 긴축 기조를 장기간 유지하겠다 밝힌 이후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통방문에 관련 문구가 언급된 것은 처음이다.
이 총재는 3개월 내 인하 가능성에 대해서는 금통위원 6명중 4명이 3.5% 유지 의견을 냈다고 밝혔다. 나머지 2명은 3.5%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도 열어놔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이 총재는 “지난 5월에는 깜빡이를 켠 상황이 아니라 금리 인하 준비를 위해 차선을 바꿀지 말지 고민하는 상태였다”며 “현 상황은 물가 상승률의 안정 추세에 많은 진전이 있었던 만큼 이제는 차선을 바꾸고 적절한 시기에 방향을 전환할 준비를 하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다만 적절한 인하 시기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물가 상승률이 낮아진 만큼 금리 인하 논의 분위기가 조성됐지만, 시장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다소 앞서나가고 있다는 의견도 전했다.
이 총재는 “대다수 금통위원은 당면한 물가와 금융안정을 고려할 때 시장에 형성된 금리 인하 기대가 다소 과도한 측면 있다고 봤다”며 “이런 기대를 선반영해서 주택 가격 상승 기대가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고 전했다.
원재연 기자 wonjaeye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