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월 새 5차례 먹통' 카카오톡 긴급 현장점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카카오톡의 잦은 서비스 장애 원인을 파악하고자 긴급 현장전검에 착수했다. 최근 5개월 새 카카오톡에서 5차례에 걸쳐 서비스 장애가 발생하자 구체적 원인 파악을 위해 추가 조사에 나선 것이다.
24일 ICT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오전 10시30분쯤 경기 성남 카카오 판교 본사 등을 찾아 통신 재난 관리 계획 이행 여부를 점검했다.
정부는 소프트웨어(SW)와 네트워크 등 전문가들을 대동해 9월 20일 발생한 카카오톡 서비스 장애 원인과 복구 상황, 재발 방지 대책 등을 점검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만약 카카오가 미흡하게 조치했을 경우가 있다면 시정하라고 요구할 방침이다. 현장 점검 결과는 이르면 2주일 후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카카오 현장 점검에 나선 것은 올해만 3번째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지난 5월 13일에는 서버 특정 파일이 업데이트 되던 중 기존 파일이 삭제돼서 서비스 장애가 일어났다. 같은달 20일에는 시스템 기능 개선 작업이 다른 서버에 반영되서 문제가 발생했다. 이튿날인 21일은 장애를 일으킨 오류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서버가 업데이트돼서 서비스 오류가 생겼다.
카카오는 9월 13일 사전테스트 내부 지침 마련, 위기 대응 매뉴얼 보관, 서비스 안정성 확보 지침 구체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장애 원인 분석 및 사후 관리 철저 등 완료했다는 내용의 시정조치 결과 자료를 정부에 제출했다.
문제는 5월 이후 시점인 7월 18일 카카오톡 PC버전 접속 장애가 발생한데 이어 이달 20일에도 모바일·PC 메시지 발송 장애가 잇따르면서 시정 조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의문이 커지고 있다.
이날 과기정통부의 현장 점검 결과에 따라 통신 재난 관리 계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 과징금 부과 등 제재 처분이 내려질 수 있다.
현행 방송통신발전법에 따르면 시정 명령 미이행 시 매출액의 최대 3%(첫 번째 위반 시 최대 0.5%) 과징금 부과를 해야한다.
이선율 기자 melody@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