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사퇴설 일축… “내부통제·기업문화 개혁” [국감 2024]

사퇴 질문에, “절벽에 선 심정, 챙겨야 할 일 많다"

2024-10-10     한재희 기자

임종룡 우리금융회장이 전임 회장 부당대출 사건 ‘정면돌파’를 선택했다. 관련 사건을 두고 침묵을 지켜오던 임 회장은 2024년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절벽에 서 있다는 심정으로 내부통제 , 기업문화를 바꿔 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 제기된 사퇴설과 관련해서는 “챙겨야 할 부분이 많다”며 일축했다.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한국산업은행·중소기업은행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 굳은 표정으로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뉴스1

임종룡 회장은 10일 오후 국회 정무위원회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강일 의원이 전임 회장 부당대출 사태와 관련해 책임지고 사퇴할 것이냐는 질문에 “깊은 책임감을 느끼지만 지금은 조직의 안정과 내부통제 강화, 조직 문화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답했다. 

사퇴설을 일축한 임 회장은 내부통제 강화와 조직문화 혁신과 관련한 향후 계획을 쏟아냈다.

임 회장은 “그룹사 전 임원의 동의를 받아서 친인척에 대한 신용정보를 등록시키겠다”며 “대출 취급시 처리 지침도 마련하고 사후 적정성 검토 등 엄격한 관리 프로세스를 갖추겠다”고 밝혔다.

이어 “사외이사만으로 구성되는 윤리내부통제위원회를 신설하겠다”면서 “경영진에 대한 견제와 감독을 위한 기관을 만들고, 그 직속으로 윤리경영실을 만들어 외부 전문가가 수장이 되도록 해 내부자 신고 제도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자회사 임원 선임과 관련한 사전합의제를 폐지하는 등 지주회장의 인사권을 대폭 축소한다. 임 회장은 “(회장의 강력한 인사권이)이번 사건의 원인”이라며 “회장의 권한과 기능을 조절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여신 심사 관리 프로세스를 바꾸기 위해 여신 감리 조직을 격상시키고 이상거래에 대해 전산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도 구축해서 내년부터 시행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감독원이 지적하고 있는 늑장보고와 관련해서는 “결코 전임 회장 등을 비호하거나 사건을 은폐하거나 축소하거나 이런 일은 하지 않았다”며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면 좀 더 신속했어야 하고 좀 더 빠르게 금감원에 협조를 구했어야 했다는 점이 아쉽다”고 말했다.

우리금융에서 금융사고가 많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임 회장은 “금융 서비스가 복잡하고 디지털화해 가는 데 내부통제 시스템에 따라가지 못하는 점, 윤리를 바탕으로 서야 될 기업문화가 아직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이 두가지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이 사고 재발을 방지하는 일일 것”이라며 “내부통제 , 기업문화를 바꿔 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우리금융의 인사에 과도하게 개입하고 있다는 지적에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임 회장은 “최근 금감원장의 우리금융에 대한 언급은 이번 부당대출 사건을 계기로 해서 기업문화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경영진의 각성과 쇄신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이해한다”며 “이에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언급했다.

임 회장 재임 기간에 횡령‧배임과 같은 사고가 재발할 경우 거취에 대해 묻자 “책임질 일이 있다면 책임지겠다”면서도 “우리금융이 환골탈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