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모델 개발 대신 최적화”…퀄컴의 온디바이스 AI 전략 [스냅드래곤서밋]

2024-10-23     와일레아(미국)=이광영 기자

퀄컴이 파트너사와 협업을 중심으로 ‘온디바이스 AI’ 확산에 나선다. 직접 AI 모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파트너들이 AI 모델을 기기에서 실행하도록 최적화를 지원해 AI 인프라를 넓히겠다는 전략이다.

비네쉬 수쿠마(Vinesh Sukumar) 퀄컴 제품 관리 부문 시니어 디렉터는 21일(현지시각) 미국 와일레아 비치 리조트 메리어트에서 열린 퀄컴 스냅드래곤 서밋 2024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나 퀄컴이 AI 모델을 직접 만드는 역할보다는 전체 인프라를 확장하기 위한 전략을 가져가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비네쉬 수쿠마(Vinesh Sukumar) 퀄컴 제품 관리 부문 시니어 디렉터가 21일(현지시각) 미국 와일레아 비치 리조트 메리어트에서 열린 퀄컴 스냅드래곤 서밋 2024에서 한국 취재진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 공동취재단

퀄컴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픈AI 등과 스냅드래곤 플랫폼에서 AI 모델 성능을 최적화 중이다.

수쿠마 시니어 디렉터는 “AI 솔루션은 인프라스트럭처나 모델과 결합해야 하며 OEM을 찾아야 한다”며 “삼성전자와 샤오미, 아너 등이 각각 차별화를 위한 요구사항이 있고 그들이 프리미엄을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기 자체에서 구동하는 온디바이스 AI 확산에 주력하는 퀄컴은 단일 모드 AI에서 멀티모달 AI로의 전환을 진행 중이다. 

수쿠마 시니어 디렉터는 멀티모달과 AI 어시스턴트 향후 전략에 대해 자동차를 언급했다. 그는 “차량 대시보드에 대고 말하면 시스템이 사용자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파악해 작동하며 음성, 동작, 이미지를 복합적으로 처리하게 된다”며 “정확한 예측 가능한 모델이 있다면 이런 멀티모달을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온디바이스 AI는 스마트폰, PC뿐 아니라 스마트빌딩, IoT, 가전 등 다양한 곳으로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TV 역시 음성 명령이나 동작 인식 등을 위해 탑재되고 있다.

비네쉬 수쿠마 디렉터는 "퀄컴은 지난 15년간 AI에 투자해 왔으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엣지 컴퓨팅을 통해 보다 나은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책임있는 AI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와일레아(미국)=이광영 기자 gwang0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