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강제매각' 합법 결정에… 틱톡 "서비스 중단" 맞불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미국 대법원에서도 강제 매각을 모면하지 못하게 되자 당장 오는 19일부터 미국 내 서비스를 중단할 것이라고 맞불을 놨다.
18일(현지시각) 로이터·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틱톡은 이날 성명을 통해 "조 바이든 행정부가 틱톡 금지를 집행하지 않겠다고 보장하지 않으면 이튿날인 19일부터 미국 내 서비스가 강제로 종료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날 미국 연방대법원은 틱톡이 미국 내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시장에서 퇴출당하도록 한 강제 매각법은 합헌"이라고 결정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미 정부도 환영의 입장을 나타냈다. 법무부는 "법원 결정으로 법무부는 중국 정부가 미국 국가안보를 약화하기 위해 틱톡을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백악관 역시 "틱톡은 미국인들이 계속 사용할 수 있어야 하지만, 이(틱톡)는 의회가 법에서 확인한 국가 안보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인이나 다른 소유권 아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변수는 오는 20일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틱톡 구제를 시사했다는 점이다. 실제 현지에서는 틱톡이 당장 미국 시장에서 퇴출당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법원 판결 이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글에서 "대법원의 판결은 예상됐던 것이며 존중돼야 한다"면서도 "틱톡에 대한 내 결정은 머지않은 미래에 내려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나는 상황을 검토할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지켜봐 달라"고 밝혔다.
바이든 행정부 백악관도 "(법 이행) 시점을 고려할 때 법 시행을 위한 조치는 20일 출범하는 차기 행정부 소관이라는 것이 (바이든) 정부의 인식"이라고 밝히면서 바이든 대통령이 법 시행 여부와 관련해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미국은 틱톡이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으며 이 데이터가 중국으로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해왔다. 또 틱톡의 알고리즘이 중국 당국에 의해 조작되면 콘텐츠가 왜곡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틱톡을 인수하겠다는 공인 매수자가 없는 한 20일부터 애플, 구글 등 앱 스토어에서 틱톡을 지원하지 못한다. 인터넷 호스팅 서비스도 틱톡을 호스팅할 수 없게 된다.
손희동 기자
sonny@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