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다음 타깃은 아시아… 韓 안전지대 흔들리나

2025-02-02     김동명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비롯해 캐나다, 멕시코에 보편적 관세를 부과키로 한 가운데 아시아 주요 수출국들이 다음 관세 타깃이 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블룸버그, AP통신 등 외신은 추후 대만과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주요 국가에 대한 관세 부과가 현실화할 것이란 관측을 내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조선DB

외신은 ING이코노믹스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를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제품의 미국 수출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하는 대만, 한국, 베트남, 태국 등을 관세 우회 국가로 의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ING이코노믹스는 이들 국가가 최근 몇 년 동안 미국에서 늘어난 수입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실제 2023~2024년 미국의 대만산 수입은 31% 늘었으며 베트남 19%, 한국 14%, 태국 12%씩 증가했다.

블룸버그는 삼성전자와 같은 반도체 업체들이 지난 정권으로부터 보조금을 지급받기로 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미집행 보조금 지급을 보류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에 한국, 대만처럼 기술 중심의 수출 업계가 큰 피해를 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앞서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국가경제위원회(NEC) 부위원장을 지낸 켈리 앤 쇼도 지난달 24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에서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주최로 열린 세미나에서 이 같은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쇼 전 부위원장은 “미국은 현재 통상정책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를 진행 중”이라며 “우선은 멕시코, 캐나다, 중국이 주요 타깃이 될 것이지만 한국도 안전지대는 아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가능성도 열어둬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외국과의 불공정한 무역 관행과 기존 무역협정에 대해 재검토하라는 지시를 내렸기 때문이다.

쇼 전 부위원장은 “전 세계 교역국을 대상으로 한 본격적인 관세 부과는 정부 조사가 완료되는 4월 이후일 것”이라고 했다.

당시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은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대대적인 정책 변화에 우리 정부와 기업이 발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조선·원자력·바이오 등 미국과 협력 속에서 우리 기업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명 기자

simalo@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