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아 카카오 대표 “스며드는 초개인화 AI 제공하겠다”
“카카오는 오픈AI와 파트너로서 한국시장에 최적화된 AI 서비스를 함께 고민해 왔습니다. 지난해 9월부터는 초개인화 AI 대중화를 위해 다양한 범위에서 논의했습니다. 카카오는 최고의 AI 기술을 확보하면서 AI시대에 상상할 수 있는 서비스를 모두 현실화시킬 수 있도록 기술 생태계를 구성하고 최고의 파트너와 협력하고자 합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오픈AI와 함께 개최한 공동 미디어데이에서 이 같이 밝혔다. 카카오는 또 오픈AI와 전략적 제휴 체결도 발표했다. 국내에서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건 카카오가 처음이다.
정신아 대표는 오픈AI의 AI 모델을 카카오의 AI 에이전트 ‘카나나’에 활용한다고 설명했다. 카나나는 카카오가 자체 개발하는 AI 모델에 오픈AI 모델을 추가로 사용하게 된다.
정 대표는 “서비스 측면에서 카카오는 단순 특정 서비스 제공에 그치지 않고 카카오의 모든 생태계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맥락을 심도 있게 분석해 ‘나’를 중심으로 최적화된 초개인화 AI를 제공할 수 있다”며 “기술적 측면에서도 카카오는 한국어와 한국 상황을 가장 잘 이해하는 거대언어모델(LLM)과 소형언어모델(sLLM)을 자체 개발하고 있으며 정밀조정(파인튜닝)을 통해 서비스 맞춤형으로 고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카카오는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양사가 함께 카카오의 5000만 이용자를 위한 공동 상품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며 “카카오는 AI 기술역량이 작동할 AI 모델 전략으로 서비스마다 최고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AI 모델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모델 오케스트레이션’을 사용한다”고 덧붙였다.
카카오의 AI 모델 오케스트레이션은 오픈AI의 챗GPT 운영 방식과 다르다. 챗GPT는 이용자가 원하는 GPT 모델을 직접 선택해서 사용한다. 반면 카카오 카나나는 이용자가 모델별 특성을 모르더라도 최적의 결과를 받을 수 있는 방식을 추구한다.
정신아 대표는 “카카오는 카카오가 오랜 기간 이용자의 일상과 함께 하며 축적해 온 이용자에 관한 깊은 이해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카카오 플랫폼 서비스는 AI시대에도 변함없이 카카오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며 “한국을 이해하는 카카오와 글로벌 서비스 경험을 가진 오픈AI의 협력은 큰 서비스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카카오는 AI시대에 다시 한번 기술을 기반으로 일상을 혁신하는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며 “여러분도 모르는 사이에 일상에 스며드는 가장 강력하고 성공적인 초개인화 AI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덧붙였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