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내부통제 개선 어려워… 아쉬움 남아”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취임 후 최근까지도 고위 경영진이 연루되는 등 대형 금융사고재발을 보면서 내부통제의 질적 개선이 매우 어렵다는 사실을 실감 중”이라며 “지배구조 선진화 운영 과정에서 아쉬움이 남는다”고 밝혔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19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장 간담회에서 “취임 초기부터 PF발 자금시장 경색, 미국발 금리·환율급등에 대처한 시장안정화가 다급했던 상황이 이어졌고, 잇따른 금융사고로 손상된 금융권 신뢰회복까지 절실히 요구되는 어려운 시기의 연속이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복현 원장은 금융 산업이 국제적으로도 경쟁력을 갖춰나가기 위한 방안으로 ▲자본적정성 관리 및 지배구조 선진화 ▲자산·상품의 쏠림으로 인한 리스크 관리 ▲조직문화 쇄신 ▲중·저신용자, 소상공인 자금공급 등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최근 주주환원 확대 등 은행권의 밸류업 정책이 자본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며 “지속적인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서는 은행의 재무건전성 확보가 전제돼야 하므로 손실흡수 능력 확보 등 자본적정성 관리와 자율적인 주주환원 사이의 균형추를 적절하게 맞춰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지배구조 선진화에 관해 “지배구조 모범관행 도입, 이사회 소통 정례화 등 제도적인 측면에서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최근의 최고경영자(CEO) 선임과정 논란과 이사회 견제기능 미흡사례 등을 볼 때 실제 운영 과정에서의 아쉬움이 남는다”며 “앞으로 은행들이 각 특성에 맞는 건전하고 선진적인 지배구조 정착에 더욱 노력해주시길 바란다”고 했다.
자산·상품의 쏠림에 대해서는 “경영진의 단기 실적주의에 따른 밀어내기식 영업관행으로 인해 주가연계증권(ELS) 등 고위험 상품으로의 판매쏠림이 금융소비자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힌 바 있다”며 “감독당국과 은행권이 함께 마련중인 개선방안이 충실히 이행될 수 있도록 경영진들이 각별히 신경 써달라”고 했다.
또 이복현 원장은 “은행권의 내부통제 실패와 함께 이에 따른 대형 금융사고가 되풀이됨에 따라, 신속하고 체계적인 검사를 통해 사고관련자에 대해 엄중한 책임을 묻는 한편, 책무구조도를 도입하는 등 내부통제 체질 개선을 위해 총력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조직문화를 과감히 쇄신하고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를 구현하는 한편, 빠른 기술 발전으로 점증하고 있는 정보기술(IT) 리스크 관리에도 앞장서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지역 중소기업·소상공인 등에 대한 자금공급, 취약계층에 대한 채무조정 등 다른 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신경써달라고 요청했다.
이 원장은 “(은행권이) 한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고령화에 대비한 국민의 자산 형성 지원, 신성장 산업에 대한 모험자본 공급 및 인프라 구축 해외 진출, 사업다각화를 통한 신규 수익원 창출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금융 확대 등에 있어 치열한 변화와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며 “은행산업이 자동차, 반도체 등과 같이 미래 한국 경제를 이끄는 중추적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경아 기자
kimka@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