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0.25%p 내려 2.75%로… 높아진 경기둔화 우려

2%대 기준금리 2년 4개월만 올해 성장률 1.5%까지 하향

2025-02-25     한재희 기자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 11월에 이어 한 차례 더 기준금리를 인하했다. 지난 1월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시장 상황을 지켜봤지만 경기 침체 우려가 더 커지자 추가 인하를 단행했다. 기준금리 인하를 통해 시장에 돈이 풀리고 이자 부담 완화로 내수가 회복되는 등의 선순환을 기대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했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통화정책방향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2.75%로 결정했다. 2%대 기준금리는 지난 2022년 10월 이후 2년 4개월 만이다.

금통위는 지난해 10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추며 통화정책 방향을 전환했다. 지난 2023년 1월부터 20개월 넘게 이어온 동결 행진을 깬 것이다. 이어 11월에도 연속 인하를 단행하며 경기 회복에 속도를 내는가 했지만 지난해 말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정국에 발목이 잡혔다. 지난달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이 1480원을 돌파하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심화하자 동결을 결정한 바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두 차례 금리 인하 효과도 지켜볼 겸 숨 고르기를 하면서 정세에 따라 (금리 인하 여부를) 판단하는 게 더 신중하고 바람직하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한은이 관망을 깨고 기준금리를 다시 인하한데에는 경기 침체 우려가 강해져서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부진에 비상계엄 이후 정국 혼란까지 겹쳐 당초 한은 전망치(2.2%)보다 0.2%p나 낮은 2.0%에 그쳤다.

이날 한은은 수정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달 한은이 비공식적으로 제시한 전망치인 1.6~1.7%보다도 더 낮은 수준이다. 내년 성장률 전망은 당초 전망인 1.8%를 유지했다.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있는데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관세 정책 등으로 수출 불확실성 마저 확대됐기 때문이다. 경기 부양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도 반영되지 않아 전망치가 더 낮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