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금리인하 시사한 이창용 총재 “올해 성장율 크게 떨어져”

2025-02-25     한재희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시장에서 올해 2~3회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보는데 한국은행의 가정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한재희 기자

이 총재는 25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결정 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통위원 6명 모두 통화정책이 금리 인하 국면에 있으며, 앞으로 데이터를 보면서 인하 시점을 결정하자는 데 공감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한은 금통위는 기준금리는 3.0%에서 0.25%포인트 인하해 2.75%로 결정했다.

이 총재는 “금통위원 4명은 금리 추가 인하 여력이 빠르게 소진되는 것을 우려해 3개월 내 2.75%를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고 했다. 이어 “나머지 2명은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진 만큼 2.75%보다 내려갈 수 있다는 것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기준금리 인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배경으로는 경기 악화를 꼽았다. 이 총재는 “올해 중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경기 대응을 위해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했다”며 “지난해 말 이후 악화된 소비심리가 실제 지표 부진으로 이어지고 있고 미국 신정부의 관세정책도 국내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당분간 경기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또 “물가 안정세와 가계부채 둔화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봤다”고 설명했다. 다만 “금리하락 기조로 인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대가 강화되고 가계대출 증가규모가 재차 확대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추가경정예산(추경)에 대해서도 재차 의견을 냈다. 이 총재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인 1.5%에는 추경이 포함되지 않았다”면서 “금리를 더 내리면 환율, 물가, 가계부채 등에 영향을 줘 금융안정 기조를 위협할 수 있는 만큼 재정정책과의 공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추경이 15조~20조원이 추진되면 1.7% 성장까지 가능하다”면서도 “추경은 단기적으로 성장률이 떨어질 때 보완하는 것으로 20조원 이상의 추경은 재정건전성 등 문제로 부작용이 더 크다”고 강조했다.

그는 “근본적으로 성장이 낮아지는 원인은 구조조정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내년 1.8% 성장 전망에 대해서는 “괜찮은 수준”이라며 “과거 고도성장에 너무 익숙해서 1.8%라고 하면 위기라 하는데, 우리 실력이 그 정도”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구조조정을 안 하고 기존 산업에 의존했기 때문”이라며 “신성장동력을 키우지 않고 해외 노동자도 안 데려오고 하는데, 1.8% 이상으로 성장하려면 재정을 동원하고 금리를 낮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더 높이 성장하려면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는 게 제가 계속해서 드리는 메시지”라고 부연했다.

기준금리를 지난해 10월부터 세 차례 인하했음에도 대출 금리 인하 등에 효과가 없다는 것을 두고는 “효과가 없다는 것은 과장된 보도”라며 “기준금리 인하 기대로 지난해 5월 시장금리가 상당히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해 8~9월 이후 거시건전성 규제로 신규 대출 가산금리가 떨어지지 않았는데 기존 대출까지 합한 가산금리는 떨어졌다”며 “신규 대출 가산금리도 조만간 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