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정책에 흔들리는 경제성장률… 한은 “올해 1분기 성장률 0.2%에 그쳐”
무역 갈등·보복관세 커지면 성장률 1.4%까지 떨어져
한국은행이 올해 1분기 성장률이 0.2%에 그칠 것으로 봤다. 연간 성장률은 기존 1.9%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미국 관세정책과 정치 불확실성 등으로 수출과 내수 모두 침체될 가능성이 커져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로 안정될 것으로 봤다.
한은은 25일 수정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1.5%로 낮춰잡았다. 지난해 11월 1.9에서 0.4%포인트나 내렸다.
이번 전망에는 국내 정치 상황, 미국의 관세 정책 등이 영향을 미쳤다. 미국의 관세 정책이 더 높은 강도로 조기 시행되는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을 전제하면서 성장률이 크게 낮아졌다.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은 1분기까지 지속되다가 2분이 이후 점차 해소되면서 하반기 중 경제심리가 이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봤다.
이에 따라 1분기 성장률은 0.2%로 미국 관세정책 예고 및 정치 불확실성에 따른 심리 위축, 날씨 등 일시적인 영향으로 당초 예상치인 0.5%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됐다.
2분기 이후에는 정치 불확실성이 점차 해소되는 가운데 금융여건 완화의 영향도 나타나면서 내수는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수출은 통상 환경 악화로 연말로 갈수록 하방압력이 증대될 것으로 봤다.
다만 무역 갈등이 심화하고 보복관세가 큰 폭으로 부과되는 경우에는 성장률이 1.4%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한은은 "무역 갈등이 심화하고 미국과 여타국이 상호보복하에 올해 중 큰 폭의 관세를 부과하며 이후에도 고관세를 유지하면서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을 가정한 경우"라며 "이때 우리 성장률은 올해 기본전망 대비 0.1%포인트, 내년 0.4%포인트 각각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대로 무역 갈등이 조기 완화되는 낙관 시나리오 적용하면 성장률은 1.6%까지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성장률은 내수를 중심으로 회복되면서 성장률이 1.8%까지 높아질 것으로 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달러 대비 원화 환율 상승에 따른 상방요인과 낮은 수요압력과, 정부 물가 안정대책 등 하방요인이 합쳐져 지난해 11월 전망 수준인 1.9%를 유지했다. 근원 물가 상승률은 올해 1.8%로 지난 전망보다 0.1%포인트 하향됐다.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당초 전망인 800억달러를 밑도는 750억달러로 예상됐다. 미국의 예상보다 빠른 관세정책 추진 등으로 수출 증가세가 둔화됨에 따라 지난 전망에 비해 흑자규모가 축소될 것으로 봤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