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디지털 전환’ 선포… “AI로 불공정 거래 잡는다”

2025-03-17     한재희 기자

금융감독원이 ‘디지털 전환’을 선포했다. AI(인공지능) 기술을 금융감독 업무에 폭넓게 활용해 불공정 혐의 거래를 걸러내는 등 ‘데이터 기반 감독체계’를 만들겠다는 목표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5일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증권회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증권사에 ▲모험자본 공급 역할 강화 ▲디지털 전환 및 기술 혁신 ▲자본시장 선진화 등을 당부했다. 이 원장이 지난달 27일 보험회사 CEO 간담회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뉴스1

금감원은 17일 전 임직원이 참여한 가운데 ‘금융감독 디지털 전환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선 이복현 원장이 직접 디지털 전환 필요성과 추진 전략, 기대효과 등을 설명했다.

금감원은 ‘디지털로 실현하는 금융감독의 미래’를 비전으로 4대 부문, 15개 세부 추진과제를 설정했다. 

4대 추진 전략에는 ▲데이터 기반 감독체계 구축 ▲금융감독 업무 디지털화 ▲스마트 워크플레이스 구축 ▲감독 정보 접근성 확대 등이 포함됐다.

우선 데이터 기반의 감독체계를 구축한다. 현재 금융사가 업무보고서, CPC 시스템 등을 통해 제출하는 자료수집 체계를 원천 데이터 수준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는 시스템으로 바꾸는 방식이다.

패턴 인식 능력이 우수한 AI 기술을 불공정 혐의 거래 적출에 적용해 섭테크(SupTech) 대응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금융감독 업무 프로세스도 전면 재설계된다. 민원 처리 프로세스는 쟁점별로 민원을 분류해 유사 쟁점 민원을 동시에 집중 검토·처리하는 체계를 도입하고, 민원 내용을 이해하는 생성형 AI를 통해 민원 분류, 유사사례 제시, 회신문 초안 작성 등을 지원한다.

인허가 업무에 관해서도 금융사가 온라인으로 간편 신청하고, 금감원이 시스템 기반으로 심사하는 디지털 인허가 체계를 구축한다.

아울러 금감원 내 업무용 태블릿PC와 클라우드 기반의 다자간 협업시스템 등을 도입, 구축한다. 

제재 공시 내용에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포함하는 등 대외 공시 범위를 확대하고, 금융위·금감원 간 정보 공유를 위한 시스템 연계도 추진한다.

이복현 원장은 “인력에 의존하는 방식으로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리스크 파악 및 대응에 한계가 있다”며 “기본적인 업무수행부터 의사결정에 이르기까지 관성에서 벗어나야 혁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금감원 디지털 전환 사업은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진행되며 금융감독 디지털 전환 성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주요 과제 진척 상황을 공유할 예정이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