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금통위 '동결' 전망 높지만… 환율 vs. 경기 방점은?

한은 금통위, 최근 6개월 새 3차례 금리 낮춰

2025-04-13     한재희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 행진에 쉼표를 찍을지 관심이 쏠린다. 지난 1월과 같이 ‘고환율의 덫’에 빠진 상황이어서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이 전세계 금융 시장을 뒤흔든 가운데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이 1480원을 돌파하는 등 금융위기 때와 같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변수는 있다. 내수와 투자 부진 등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면서 경기 부양 필요성이 커졌다. 조기 대선이 6월 치러지는 것도 고민의 대상이다. 5월 금통위는 29일 개최되는데 대선 3일(영업일 기준) 전이다. 운신의 폭이 지금보다 더 좁아지리란 예상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했다/ 한국은행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은 오는 17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한다. 지난해 10월과 11월 두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내린 한은은 올해 1월 동결, 2월 0.25%포인트 인하를 차례로 결정했다. 기준금리는 3.50%에서 2.75%로 떨어졌다. 

시장에서는 이달 한은의 동결 결정에 무게를 두는 모습이다. 지난달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해제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 영향이 4월에 반영되는 데다 환율 변동성이 커져서다. 지난 2월 금통위원들은 3개월 포워드 가이던스에서 6명 중 4명이 동결 가능성을 열어뒀다. 금리 인하 효과를 지켜보면서 속도 조절을 하겠다는 뜻이다.

환율 변동성이 커진 것도 동결 결정에 힘을 보탠다. 한은은 지난 1월에도 동결을 결정하며 이의 배경으로 고환율을 꼽은 바 있다. 당시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영향으로 원화 환율이 크게 요동쳤다. 

이달에는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 영향에 환율이 1480원을 돌파하는 등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정부가 상호관세 전격 유예 방침을 밝히면서 11일 기준 전날 대비 6.5원 내린 1449.9원으로 마감했지만 지난 9일엔 1484.1원까지 치솟으며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까지 올랐다. 미중 관세 갈등이 여전하고 일시적 유예라는 점에서 환율 변동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는 분석이다.

금리 인하가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더 심화시킬 우려가 있는 만큼 이번 금통위에서는 금리에 변화를 주지 않은 채 시장 흐름을 볼 거란 관측이다.

커지는 경기악화 우려… 일부선 "성장률, 1% 하회할 것" 전망도 

변수는 있다. 경기 악화 속도다. 가계부채 급증과 정치적 불확실성의 영향으로 민간소비 회복이 부진하고 수출 둔화 등 이미 곳곳에서 경기 침체 징후가 나오는 상황.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더 내려야 한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실제 글로벌 기관 및 은행들은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하향 조정하고 있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지난해 12월 전망보다 0.5%포인트 내린 1.5%로 전망했고 국제통화기금(IMF)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로 하향 전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역시 성장률을 올해 1.5%로 낮췄다. 한국은행도 1.5% 전망을 내놨고 기획재정부는 1.8%로 전망했다.

해외투자은행(IB) JP모건은 지난달 말 우리 성장률을 1%를 밑도는 0.9%로 전망하기도 했다. 

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간 이창용 총재는 경기 부양 등 효과를 위해서는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조화를 강조해왔는데 새 정부의 재정정책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통화정책을 선제적으로 펼 지 미지수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한은은 국내경기 둔화 우려에도 서울 주택가격 강세, 가계대출 증가세 등을 감안해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2.75%에서 동결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다만 “상호관세 충격으로 금통위원들이 국내 경제성장률 대폭 하향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0.25%포인트 인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