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심 교체 첫날 ‘재고 부족’에 예약 대기 평균 12만명 [SKT 유심 해킹]

하루 100명 유심 교체 가능 인원 제한 가입자 ‘분통’

2025-04-28     김광연 기자

해킹으로 인해 고객 유심(USIM·가입자 식별 모듈) 정보 유출 사고를 낳은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이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재고 부족으로 제대로 된 교체 작업이 이뤄지지 못해 소비자들이 분통을 삭히고 있다. 

해킹 공격으로 가입자 유심 정보가 탈취된 SK텔레콤이 가입자 유심 무상 교체를 시작한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T월드 매장 앞에서 고객들이 줄을 서 있다. / 김광연 기자

28일 SK텔레콤 각 대리점 앞에는 상당수 가입자가 줄을 서는 장면이 연출됐다. 이들은 서로 유심 교체를 바랐지만 일부만 혜택을 봤다. 한 가입자는 "SK텔레콤 대리점에서 이날부터 유심 교체가 가능하다고 해서 왔는데, 재고 소진이라고 한다"고 말했다. 

서울의 한 대리점은 하루 100명으로 유심 교체 가능 인원을 제한해 줄을 서던 고객들이 그대로 발길을 돌리는 경우도 있었다.

이처럼 고객들의 일괄 유심 교체가 힘든 이유는 현재 SK텔레콤이 보유한 유심 재고가 100만개 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SK텔레콤 전체 고객이 2300만명에 달한다는 점을 생각할 때 턱없이 부족한 양이다. 회사 측은 5월 말까지 약 500만개의 유심을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지만 여전히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어서 당분간 유심 재고난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킹 공격으로 가입자 유심 정보가 탈취된 SK텔레콤이 가입자 유심 무상 교체를 시작한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T월드 매장 앞에서 직원들의 안내를 받아 온라인 예약을 하고 있다. / 뉴스1

SK텔레콤은 이날 오전 8시 30분부터 홈페이지로 유심 온라인 예약 신청 시스템 운영을 시작했다. 고객들이 오프라인 대리점에 밀려들 것을 대비해 불편을 줄이겠다는 의도였다. SK텔레콤은 "많은 고객이 한꺼번에 몰릴 경우 대기 시간이 길어지고 많은 불편이 예상된다"며 "유심 교체를 희망하는 고객은 T월드 매장을 방문 없이 해당 시스템을 통해 희망 대리점을 선택해 신청하면 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유심 온라인 예약 신청마저도 밀려드는 접속자로 인해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이날 오전 예약 사이트 순간 대기인수는 12만명에 달하며 제대로 된 예약이 불가능한 상황이 연출됐다.

힘들게 온라인 예약 신청을 했어도 유심을 언제 바꿀 수 있을지 기약이 없다. SK텔레콤은 예약 완료 고객에게 문자를 통해 "유심 재고 확인 후 교체 가능한 날짜를 문자로 안내드리겠다. 유심 수급 상황에 따라 여러 날이 소요될 수 있으니 양해 부탁드린다"며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교체해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만 밝혔다.

한 고객은 "유심 교체를 위해 힘들게 온라인 예약에 성공했는데 유심을 교체할 수 있는 날도 제대로 통보하지 못해 답답하다"며 "도대체 언제 유심을 교체해 줄 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2년 전 고객 개인정보가 유출된 LG유플러스도 해당 고객들의 유심을 교체해줬지만 상당 시간이 소요됐다"며 "이번의 경우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다"고 말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