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심 교체 대안으로 'SW 초기화 방식' 도입 고려 [SKT 유심 해킹]

2025-04-28     홍주연 기자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이 유심 해킹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물리적 유심 교체 외에도 소프트웨어적(SW)으로 유심 정보를 초기화하는 기술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500만 가입자 대상 유심 교체에 따른 물량 부족과 2000억원에 달하는 비용 부담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보인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가 25일 서울 중구 SKT타워에서 고객 정보 보호조치 강화 설명회를 열고 SK텔레콤 이용자 유심(USIM) 정보 해킹 사고와 관련해 사과하고 있다. /뉴스1

28일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내부 구성원을 대상으로 해킹 피해 관련 상황을 설명하는 자리를 열고 이같은 방안을 공유했다. 유 대표는 이 자리에서 SK텔레콤 해킹 사태 발생 이후 상황을 공유하고 고객 보호 조치의 일환으로 기존 유심(USIM) 교체뿐 아니라 소프트웨어(SW) 초기화 방식도 고려한다고 밝혔다.

SW 초기화 방식이란 물리적으로 새로운 유심을 장착하는 대신, 유심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초기화해 새로운 정보를 덧씌우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고객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라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SK텔레콤은 유심의 소프트웨어를 초기화하는 방식으로도 유심 교체와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판단했다. 또한 빠르게 유심 문제를 해결해 고객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고 봤다.

또 SK텔레콤 입장에선 새로운 방식을 도입하면 재무적인 부담도 덜 수 있다. 개당 7700원인 유심을 약 2500만명의 가입자에게 모두 교체해줄 경우 SK텔레콤의 재무적 부담은 20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아직 적용 시점 등 구체적인 계획은 결정되지 않았다. SK텔레콤 측은 "내부 구성원 대상으로 아직 외부 오픈이 어려운 기술 검토사항, 향후 계획 등을 설명한 자리다"라며 "소프트웨어 초기화 방식은 구성원을 대상으로 이해를 돕고자 언급한 방안인 만큼 도입 시기는 확답이 어렵다"라고 밝혔다.

홍주연 기자
jyhon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