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전 부처에 업무용 기기 SKT 유심 교체 공문 [SKT 유심 해킹]

2025-04-29     홍주연 기자

국가정보원이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와 관련해 정부 전 부처 및 공공·산하기관을 대상으로 SKT 유심(USIM) 교체를 권고했다.

28일 오전 인천공항 제2터미널 SKT매장에서 해킹 공격으로 가입자 유심 정보가 탈취된 SK텔레콤 고객이 유심을 교체하고 있다. 전국 T월드 매장 2600여 곳과 공항 로밍센터에서 희망하는 고객들에게 순차적으로 유심 무상 교체를 진행하는 SK텔레콤은 현재 유심 100만 개를 확보했으며 5월 말까지 약 500만 개를 추가 확보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뉴스1

29일 정부 부처에 따르면 국정원은 최근 전 부처에 공문을 통해 "최근 유심정보 유출사고 관련, SKT 유심을 사용하는 업무용 단말·기기를 대상으로 다음의 안전조치를 추진해달라"고 요청했다.

국정원은 ▲무선 통신망 기반 영상신호 전송 ▲교통신호 제어용 ▲원격계측·검침 등에 활용되는 LTE(4G)·5G 라우터(공유기)의 유심 교체 ▲업무용 휴대폰·테블릿, 4G·5G 에그 등 모바일 단말기기의 유심 교체를 명시했다.

국정원은 "유심 교체 이전까지 업무용 단말·기기를 대상으로 '유심보호서비스' 부가서비스에 가입하라"며 "법인명의 다수 등록기기의 경우 일괄 조치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소속·산하기관도 참고·조치할 수 있도록 해당 사항을 전파해달라"고 말했다.

특히 국정원은 이번 요청이 국가정보원법의 사이버공격 및 위협에 대한 예방 및 대응 사항이라고 법적인 것임을 명확히 했다. 동시에 전 부처, 기관에 주요 시스템 점검과 보안조치 강화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내용은 방송통신위원회, 감사원, 국무조정실, 법제처,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법무부, 국방부,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재정부, 통일부, 외교부, 행정안전부, 경찰청 등 모든 중앙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등에 전달됐다. 

업계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SK텔레콤 유심 사태를 주관하고 있지만 원인 규명과 대응이 계속 늦어지면서 국정원이 직접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더 늦어질 경우 문제가 더 커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는 분석이다.

한편 SKT 유심 해킹으로 인한 우려는 정부 부처뿐만 아니라 산업계 전반에도 확산하고 있다. 삼성전자, 네이버, 카카오 등도 직원들에 유심 교체 권고에 나섰다.

홍주연 기자
jyhon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