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車산업, 美 관세에 비상… “연간 영업익 19조원 줄 수도”
도요타·혼다·닛산 등 주요 車기업 6곳, 올해 영업이익 감소 전망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일본 자동차 업체들의 연간 영업이익이 2조엔(약 19조2000억원) 이상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요미우리신문은 14일 “미국은 일본과 관세 협상에서 자동차 관세가 의제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일본 업체의 험로가 당분간 지속될 우려가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의 대미 수출에서 약 30%를 차지하는 자동차 품목에 대해 지난달 3일부터 25% 관세를 부과했고 이달 3일엔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도 발효한 바 있다.
일본 주요 완성차 업체 6곳이 전날까지 발표한 2025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전망치를 보면 도요타자동차는 4~5월에만 미국 관세 조치로 1800억엔(약 1조7000억원) 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1조엔(약 9조6000억원) 수준이다.
혼다도 이륜차를 포함하면 2025년도 영업이익이 미국 관세 정책 영향으로 6500억엔(약 6조3000억원) 줄어들 수 있다고 밝혔다. 닛산자동차는 미국 관세에 따른 2025년도 예상 이익 감소분을 최대 4500억엔(약 4조3000억원)으로 잡았다.
마쓰다는 4월에만 90억∼100억엔(약 860억∼960억원) 규모의 이익이 감소했다고 판단했고 미쓰비시자동차는 2025년도 이익이 400억엔(약 3850억원) 정도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미국에서 자동차를 판매하지 않는 스즈키도 미국 관세로 400억엔 이익 감소를 전망한 상태다.
일본 자동차 업체들은 미국 관세 영향을 줄이기 위해 공급망 재편과 협력 등을 모색하고 있다. 도요타는 미국 수출용 자동차 해외 거점을 일부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혼다는 캐나다와 일본에서 만들었던 대미 수출 제품 일부를 미국에서 생산한다. 미국에 공장이 없는 미쓰비시자동차는 닛산의 미국 공장에서 스포츠유틸리티차(SUV)를 공동 생산할 방침이다.
윤승준 기자
sjyo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