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카드대출인데… 지방은행 고객은 연체이자 더 낸다고?
지방은행이 취급하는 신용카드 대출상품(카드론, 리볼빙, 현금서비스 등) 연체 이자율이 타 금융사에 비해 과도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전성 위기를 맞은 일부 지방은행이 고객 신용도와 관계없이 약정금리를 지나치게 높게 책정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8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전업카드사 8곳(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하나·우리·BC카드)의 대출상품 연체 이자율 평균 하단 금리는 연 8.07%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기간 지방은행 5곳(경남·전북·제주·광주·부산은행)의 연체 이자율의 하단 평균은 9.82%로 2%포인트 가까이 높다.
지방은행별로 보면 전북은행이 11.9%로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BNK경남은행 10.8% ▲제주은행 10.0% ▲광주은행 8.5% ▲BNK부산은행 7.9% 순이었다.
통상 연체 이자는 약정금리에 최대 3% 정도의 가산금리를 적용해 결정한다. 약정금리는 금융사들이 자율적으로 정하는데, 가입자 신용점수와 연체이력 등을 고려해 개별적으로 산정한다.
문제는 같은 신용점수를 가진 차주더라도 어디에서 신용카드를 발급하느냐에 따라 연체이자가 크게 차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지방은행 신용카드 대출 연체이자율이 타 금융권에 비해 과도한 이유는 부실 우려 때문이다. 최근 지방은행들은 중소기업 대출을 과도하게 내주면서 연체율이 사상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월 국내 일반은행의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은 3.8%로 20년래 최고치를 찍었다. 카드사태 막바지였던 2005년 8월 3.8%와 비슷한 수준이다. 일반은행에는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이 모두 포함되지만, KB·신한·하나·우리 등 금융지주 아래서 카드사업을 분사한 시중은행은 제외된다.
실제 지방은행은 지역 경기 침체로 건전성이 급격히 악화하는 추세다. 지방은행 평균 기업 대출 연체율은 시중은행의 3배 수준으로 치솟았다.
지방은행별로 보면 전북은행이 1.53%로 기업 대출 연체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iM뱅크(1.32%) ▲광주은행(0.96%) ▲경남은행(0.70%) ▲부산은행(0.65%) 순이다.
전문가들은 지방은행들이 자산건전성 악화와 충당금 적립 부담이 커지자, 연체이자율을 높게 산정하면서 수익 보전에 나선 것으로 해석한다. 중소기업 대출로 인해 발생한 부실을 소비자에게 전가해 수익을 보전한다는 지적이다.
서지용 상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통상 지방은행들은 중소기업 중심으로 대출을 내주고 있는데 지역경기 부진으로 연체율이 높아지자 이를 보전하기 위해 연체 이자를 높게 받아야 하는 문제가 생겼다"며 "약정금리를 높게 잡으면서 중소기업뿐 아니라 일반 소비자에게도 부담을 전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대현 기자
jdh@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