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경제 핵심 축 반도체, 글로벌 경쟁력 훈풍 기대감 높여 [이재명 시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제21대 대통령 당선이 4일 확정됐다. 이 대통령이 국가 경제의 핵심 축인 반도체 산업 지원 확대를 거듭 약속한 만큼, 실제 반도체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이재명 대통령이 4월 말 대선 후보 당시 공개한 공약을 보면 그는 ▲종합 반도체 생태계 허브 구축을 위한 시스템반도체 및 첨단패키징 지원 강화 ▲반도체 등 국가첨단전략산업의 국가균형발전 기여 강화 ▲RE100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으로 수출, 산업경쟁력 제고 ▲팹리스, 첨단패키징 및 소부장 기업 등 종합 반도체 생태계 강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인공지능(AI) 수요 증가로 급성장 중인 고대역폭메모리(HBM) 사업도 키운다. 반도체에 최대 10%의 생산세액 공제를 적용하는 등 반도체특별법 제정에도 속도를 낸다. 인력 양성, 첨단 장비 도입, 인프라 지원도 병행한다.
이 대통령은 4월 28일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를 방문해 SK하이닉스 관계자들과 'K-반도체 AI메모리반도체 기업 간담회'를 진행한 적 있다.
그는 간담회에서 "미래 첨단산업 육성이 중요한 과제인데 반도체 산업이 타격없이 앞으로도 세계를 주도할 수 있도록 의견을 듣고 싶다"며 "최근 전력 문제 때문에 다들 고생하는데 그 문제도 얘기를 듣고, 반도체를 포함한 첨단기술 생태계 구축에 어떤 것들이 필요한 지도 듣고 싶다"고 현장 의견을 들었다.
업계에서는 반도체 산업 지원을 위한 큰 방향성을 넘어 세부적 지원 방안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업계 관계자는 “AI 반도체 육성을 위한 핀셋 지원 등 정책의 구체화가 필요하다”며 “경쟁국이 공급망 주도권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기에 우리도 현실적인 지원책이 나왔으면 한다”고 말했다.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 규정 이견으로 국회에 계류 중인 반도체특별법의 향방도 업계의 관심사다. 이 대통령은 반도체 R&D 인력의 특별연장근로 허용 단위 기간을 3개월에서 6개월로 늘린 만큼 주52시간제를 예외 적용하는 정책이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을 피력해왔다.
다만 반도체 업계는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려면 주52시간제 예외 등 R&D 인력 대상 유연한 근로 시간 제도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왔다.
이 대통령은 4월 28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글로벌 경제패권은 누가 반도체를 지배하느냐에 달려 있다. 반도체를 지키는 것은 우리 미래를 지키는 것”이라며 “압도적 초격차·초기술로 세계 1등 반도체 국가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광영 기자
gwang0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