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HMM 이전 ‘속도’… 해운업계, 실현 가능성 주목 [이재명 시대]

2025-06-04     이성은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면서 그가 약속한 HMM 본사의 부산 이전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다만 해양수산부 이전과 함께 추진되는 HMM 본사 이전은 육상노조의 반대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6월 1일 대선 후보 당시 부산 동구 부산역 광장에서 열린 유세에서 손을 들어 보이며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 뉴스1

이재명 대통령은 그동안 해수부 부산 이전을 부산 지역 7대 공약 중 하나로 제시하며 지난 5월 14일 부산 유세 현장에서 이를 약속했다. 공식 공약집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HMM 본사의 부산 이전 역시 유세 당시 지속적으로 추진 의사를 밝혔다.

그동안 HMM 본사 이전 문제는 논란이 있었다. 특히 이재명 당시 후보가 “직원들이 동의했다”고 언급한 발언을 두고 논쟁이 일었다. HMM 측은 해당 발언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며 이를 부인했다.

현재 HMM에는 민주노총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조 HMM지부(육상 노조)와 한국노총 산하 HMM해운연합노조(선원 노조) 등 두 개의 노조가 있다. 전체 직원의 약 90%가 노조에 가입해 있으며 육상 노조는 1800여명 중 900여명으로 서울에서 근무하는 영업 및 사무직 중심이다. 선원 노조는 선원 약 600명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이재명 대통령의 본사 이전 공약에 대해 서울에서 근무하는 육상 노조는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HMM 육상 노조는 “본사 기능이 부산으로 이전할 경우 고객 응대와 물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HMM 측도 “경영진과 아무런 협의가 없었다”며 이재명 당시 후보 측과 사전 조율이 없었음을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정부가 HMM의 주요 주주인 만큼 본사 이전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지난 5월 27일 열린 3차 TV토론에서 “HMM은 정부 지분이 있기 때문에 얼마든지 부산으로 이전할 수 있다”며 “정부 의지에 따라 추진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HMM은 기타공공기관인 산업은행(36.02%)과 한국해양진흥공사(35.67%)가 총 71.6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HMM의 전신인 현대상선 구조조정 당시 공공자금이 투입된 결과로 전체 지분의 3분의 2 이상이 공공기관 소유인 만큼 정부의 의지만 있다면 본사 이전도 가능하다는 논리다.

시장 반응도 긍정적이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HMM 부산 이전을 언급할 때마다 주가는 강세를 보였다. 실제로 HMM 부산 이전 방침이 처음 알려진 뒤인 5월 15일 HMM 주가는 52주 신고가인 2만2150원으로 마감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5월 27일 유세 현장에서도 “부산 유세에서 드린 약속은 여전히 유효하며 앞으로도 반드시 지켜질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HMM 본사 이전 공약은 부산을 해양수도로 도약시키겠다는 이 대통령의 공약 이행의 일환이다. 그는 HMM 본사와 해수부를 부산으로 이전해 부산을 글로벌 물류 허브이자 금융·문화 중심지로 육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극항로 개척’이라는 구상도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 대안으로는 ‘동남투자은행’ 설립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6월 1일 부산 유세에서 “이재명 정부는 빠른 시간 안에 해수부와 HMM 본사를 이전하고 동남투자은행을 설립하겠다”며 “대통령실에 북극항로 해양전문비서관을 두고 직접 챙기겠다. 노동자들을 설득해 동의를 얻겠다. 끝까지 동의하지 않으면 정부가 직접 해야지 어떻게 하겠느냐”고 밝혔다.

이성은 기자
sele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