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틱톡 매각 시한 또 연장…9월까지 유예
3번째 연장 조치에 정치권 반발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계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사업 매각 시한을 다시 한 번 연장하기로 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17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서비스가 중단되기를 바라지 않는다”며 “추가적인 행정명령에 서명해 서비스를 이어가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남은 기간 안에 매각 계약 체결이 이뤄지도록 정부가 책임지고 조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틱톡 매각 시한은 원래 지난 1월 19일까지였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1월 취임 직후 행정명령을 통해 75일간 유예했고, 4월에도 같은 방식으로 한 차례 더 연장했다. 이번 조치로 마감 기한은 다시 90일 연장돼 9월 중순으로 넘어가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마치고 귀국길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과 만나 “틱톡 매각 시한을 아마도 연장하게 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러면서 “틱톡 인수에는 중국 측 승인도 필요하다”며 “시진핑 주석이 결국 매각을 승인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틱톡 금지법은 지난해 4월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초당적 지지를 받아 미 의회를 통과했다. 해당 법안은 바이트댄스가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서비스를 중단토록 규정하고 있다. 바이트댄스는 소송과 가처분 신청을 통해 저항했지만 모두 기각됐다.
트럼프 행정부가 잇따라 매각 기한을 미루자, 정치권에서는 반발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테드 크루즈 공화당 상원의원은 “틱톡을 통해 중국이 간첩 활동과 선전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회는 이를 저지하고자 법을 통과시켰다”며 “행정부가 그 취지를 훼손하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지 않다면 의회는 명확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올해 초까지 틱톡의 미국 지분을 바이트댄스에서 분리해 매각하는 거래가 성사 직전까지 갔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정책을 언급한 직후 중국 정부가 승인을 거부하면서 협상은 무산됐다. 이에 따라 틱톡 금지가 임기 내 실현되기는 어렵다는 관측도 나온다.
원재연 기자
wonjaeye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