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3100 고맙다'… 대형 증권사 5곳, 올해 ‘1조 클럽’ 예약
한국·미래·NH·삼성·키움證 등 2분기 순익 1.3조 전망… 전년比 15% 많아
주식시장 호황에 증권사들이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주식 거래대금이 늘어남에 따라 브로커리지(위탁매매) 수익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해서다. 뜨겁게 달아오른 ‘빚투’ 열기도 호재다.
이에 대형 증권사의 올해 영업이익 예상치는 1조원을 훌쩍 넘긴다. 코스피가 3100을 넘어 4000선도 넘볼거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증권사 실적은 물론, 주가까지 승승장구 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25일 KB증권에 따르면 대형 상장 증권사 5곳(한국금융지주‧미래에셋증권‧NH투자증권‧삼성증권‧키움증권)의 올해 2분기 순이익 예상치는 1조346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2분기(1조1660억원) 대비 15.4% 많다.
회사별로 보면 한국금융지주 3410억원을 시작으로 ▲미래에셋증권 2800억원 ▲삼성증권 2540억원 ▲키움증권 2520억원 ▲NH투자증권 2180억원 순이다.
당초 시장에선 대형 증권사 5곳의 2분기 순이익이 1년 전보다 소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반전의 계기는 불장이다. 4월까지만 해도 2200~2400선에서 움직이던 코스피가 5월 들어 빠르게 치솟더니 새정부 출범 후엔 3000‧3100선을 잇달아 돌파했다. 3년여만이다.
주식시장 호황은 증권사 실적에 호재로 다가온다. 거래대금이 늘어날수록 증권사가 고객으로부터 받는 위탁매매 수수료 수익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24일 기준 2분기(4~6월) 국내 주식시장 일평균거래대금은 22조8837억원으로 작년 2분기(20조9375억원)보다 9.3% 증가했다. 정부 출범 후만 놓고 보면 33조9743억원에 달한다.
빚투 열기도 호실적 기대를 키운다. 주식 매수자금 대출을 뜻하는 신용거래융자는 이자율이 평균 9% 수준(기간 91일 이상)으로 높아 이자 수익을 늘리는 데 효과적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23일 기준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20조966억원으로 10일부터 연내 최대치를 매일 경신하고 있다. 연초 15조6823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6개월 만에 5조원 가까이 불어났다.
주식시장 상승세와 환율하락(원화강세) 영향으로 트레이딩(자기자본으로 주식‧채권 등 매매) 부문 수익이 늘어날 수 있는 점도 기대 요인이다. 여기에 추가경정예산(추경)에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5조4000억원의 유동성을 공급하고 특별보증 및 정부출자 리츠를 통해 3조원 규모의 금융지원이 이뤄지는 점은 침체에 빠진 기업금융(IB) 실적을 회복시킬 전망이다.
잘하면 연말 대형 증권사 5곳 모두 영업이익 1조원을 넘어설 것이란 예상이다. KB증권은 한국금융지주의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로 1조5400억원을 전망했다. 전년 대비 28.4% 많은 규모다. 미래에셋증권은 1조363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4.7%, 삼성증권은 1조2530억원으로 3.9%, 키움증권은 1조2410억원으로 13.0%, NH투자증권은 1조1720억원으로 30.1% 성장을 점쳤다.
하반기 증시 전망도 밝아 실적 전망치는 더 상향할 수 있다. 이날 하나증권은 ‘부동산을 뛰어넘는 한국 주식’ 보고서를 통해 “코스피가 평균 30% 디스카운트 수준인 주가수익비율(PER) 12.6배, 4000포인트까지도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대신증권도 ‘KOSPI 3000 시대. 시작일까? 끝일까?’ 보고서에서 “코스피가 3500선까지 오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다만 실적에 맞춰 증권사 주가가 지속 상승할진 의문이다. 전날 기준 대형 증권사 5곳의 주가는 연초 이후 평균 102.9%, 정부 출범 후엔 평균 35.8% 상승함. 주가가 급등하면서 이들 주가는 모두 목표주가를 초과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개선 등 높아진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을 충족하는 지표와 증시 부양책 현실화가 관건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장영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증권업 주가 상승의 배경은 이재명 대통령의 증시 부양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주요했다”면서도 “증권주의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재평가)까지 나아가기 위해서는 정책 실행력이 관건이 될 것이고 추세적인 증시 상승이 수반돼야 한다. 이를 위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고 증시 상승의 제반을 마련하는 것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윤승준 기자
sjyo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