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보이스피싱 예측·차단한다
AI 기술을 활용해 보이스피싱 의심번호를 예측해 차단하는 서비스가 도입될 전망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는 10일 LG유플러스와 KT가 신청한 인공지능(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사전적정성 검토 결과를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신고된 번호만 차단이 가능했으나 이번 서비스는 AI가 보이스피싱 가능성이 높은 번호를 사전에 예측해 수사기관이 아직 적발하지 못한 전화사기까지 선제 대응할 수 있다.
해당 모델은 통신사가 수사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은 보이스피싱 전화번호 통화 및 문자 수·발신 패턴을 기반으로 AI 모델을 학습시킨다. 학습 항목은 수·발신 시각, 착신 여부, 통화 종료 시간 등이다. 통화·문자 내용은 포함되지 않는다. AI는 이를 통해 보이스피싱 번호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다른 번호를 '의심번호'로 분류해 별도의 보이스피싱 의심번호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한다.
이후 금융기관이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에서 이상 징후를 감지하면, 해당 고객이 최근 의심번호와 통화한 이력이 있는지를 통신사에 조회한다. 이 절차는 중계기관인 코리아크레딧뷰로(KCB)를 통해 이뤄진다. 금융사가 실제 보이스피싱 시도로 판단하면 해당 거래를 차단하고, 결과는 다시 통신사로 회신돼 AI 모델 개선에 활용된다.
개인정보위는 이용자 보호를 위한 방안을 사업자 측에 제시, 협의했다.
우선 서비스를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목적으로만 운영하고 관련 개인정보 처리 내용을 이용자가 명확히 알 수 있도록 개인정보처리방침에 고지하도록 했다. 또 통신사는 중계사와 개인정보 처리위탁 계약을 체결하고, 보이스피싱 의심번호 DB가 해당 업무만을 위해 안전하게 처리되는지 관리·감독해야 한다.
금융사는 고객의 금융사기 노출위험 판단이 필요한 상황에서만 DB를 조회하고, 다른 목적으로 활용하지 않도록 제한됐다. 이번 의결로 다수 금융기관이 국내 이동통신 3사를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의심번호 조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앞서 SK텔레콤은 지난해 9월 중소기업은행 ‘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관련 사전적정성 검토 결과 의결됐다.
개인정보위는 "앞으로도 사전적정성 검토제를 통해 개인정보 침해 요소를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한편, AI 등 신서비스·신기술 기획 과정에서 현장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개인정보의 안전한 활용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개인정보위는 서비스 개시 후 실제 이행여부를 점검할 예정이다.
홍주연 기자
jyhon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