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내년까지 누구나 쓸 수 있는 소버린 AI 환경 조성”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소버린 인공지능(AI)을 누구나 잘 쓸 수 있는 환경을 내년 안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배 후보자는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대한민국 소버린 AI는 자체 경쟁력을 갖춰야 하며, 유연한 정책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추진 중인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과 관련해 최고 수준에 도전하는 것이 목표라며 “한국형 AI 모델을 확보해야 글로벌 AI 3강(G3) 도약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이 “사업 목표가 불분명하다”고 지적하자, 배 후보자는 “글로벌 모델을 API나 오픈소스로 활용할 수도 있지만, 한국산 AI 모델로 차별화된 서비스와 산업 특화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AI는 국가 안보와 핵심 산업에 밀접하게 연결된 만큼, 최소한의 한국형 AI 모델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주체보다 활용 주체에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도 내놨다. 그는 “월드베스트 LLM 구축 사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대결 구도가 아니다”라며 “국내에서 만든 파운데이션 모델을 스타트업, 중소기업, 학계 등 다양한 주체가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배 후보자는 이어 “모든 기업이 모델을 만들 필요는 없다. 2~3개 기업이 개발하면 충분하며, 산업별 응용 서비스와 파인튜닝 기술에 더 많은 기회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 역할도 강조했다. 배경훈 후보자는 “AI는 막대한 투자가 필요한 영역이고, 민간은 이윤 창출이 우선”이라며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해야 기업들이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배 후보자는 또 AI기본법과 관련해 “이 법은 규제보다 산업 진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개인적 의견이지만 과태료 부과는 일정 기간 유예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홍주연 기자
jyhon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