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고위직 5명 중 1명은 가상자산 보유
트럼프 710억원… 켄 하워리 대사 1670억원 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행정부 고위직 다수가 가상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 고위직 약 300명의 2024년 말~2025년 초 재산 공개 신고서를 분석한 결과 약 70명이 가상자산을 보유하거나 관련 기업에 투자했다.
이들이 보유한 가상자산 규모는 최소 1억9300만달러(약 2700억원)로 집계됐다. 내각 인사 중 3분의 1 이상이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 본인도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NFT 관련 기업 지분 등을 포함해 최소 5100만달러(약 710억원)를 보유했다.
최대 보유자는 켄 하워리 덴마크 대사로 1억2200만달러(약 1670억원) 규모다. 하워리 대사는 페이팔 공동창업자이자 피터 틸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공동창업자와 오랜 사업 파트너 관계를 이어왔다.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은 100만달러(약 14억원), JD 밴스 부통령은 25만달러(약 3억5000만원)를 보유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최대 50만달러 상당을 보유했으나 취임 전 처분했고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구체적 내역이 공개되지 않았다.
WP는 “바이든 행정부 내각 관료 중 가상자산을 신고한 인사는 없었고 다른 어떤 대통령도 가상자산을 보유한 적이 없다”며 “트럼프 행정부 고위급 인사들의 보유는 가상자산 산업 발전의 이정표”라고 전했다.
해리슨 필즈 백악관 수석부대변인은 “이런 투자는 트럼프 인사들이 민간에서 거둔 성공을 반영한다”며 “행정부에서는 이해충돌을 용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디지털 금융 규제를 명확히 하고 미국을 디지털 자산 경제의 세계적 리더로 만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 하원은 이날 스테이블코인 규제안을 담은 ‘지니어스 법안’을 비롯해 ‘클래러티 법안’ ‘반(反) CBDC 감시국가 법안’ 등 가상자산 관련 법안 3건을 통과시켰다.
돈 폭스 전 미 윤리청 국장 대행은 “일부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은 대통령의 가상자산 보유를 정부 직위를 통한 수익화 전략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며 “가상자산은 설계상 추적이 어려워 윤리 규정 적용이나 감시를 더 복잡하게 만든다. 앞으로 어떤 선례를 남길지 우려되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원재연 기자
wonjaeye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