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美 보조금 제외해도 2분기 흑자…"북미 생산 비중 확대"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보조금을 제외하고도 6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5조5654억원, 영업이익 4922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7%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각각 152.0% 증가했다. 2분기 실적에는 IRA 세액공제 4908억원이 반영됐다. 이를 제외한 실제 영업이익은 14억원이다. 보조금을 뺀 기준으로도 흑자 전환에 성공한 셈이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부사장(CFO)은 “북미 미시간 홀랜드 신규 ESS 공장 양산 등으로 출하량은 늘었지만, 금속 가격 하락과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고객 구매 심리 위축으로 매출은 감소했다”며 “고수익 제품 비중 확대와 원가 효율화를 통해 흑자 전환을 이뤄냈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실적 발표와 함께 하반기 사업환경 대응 전략도 제시했다.
LG에너지솔루션 측은 핵심 변수로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를 꼽았다. 미국은 대중국 견제 차원에서 EV·ESS용 배터리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PFE(금지외국단체) 조항을 통해 관련 기업의 미국 내 세액공제를 차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배터리 업체의 미국 진출은 사실상 제한되고 있다. 반면 AMPC(첨단제조 세액공제), ESS용 ITC(투자세액공제) 등은 각각 2032년, 2035년까지 유지돼 북미 내 설비 투자를 지원하는 기반은 여전히 유효하다.
유럽과 영국도 정책적 대응에 나섰다. EU는 역내 배터리 생산에 약 8억5000만 유로를 투자하고 있으며, 영국은 전기차 보조금을 재개해 자국 생산 중심의 EV 수요를 유도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단기적으로는 관세 및 정책 변화가 수요를 둔화시킬 수 있지만, AI·자율주행 확대에 따라 장기적인 전기차 수요는 더 커질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회사는 2분기 중 의미 있는 수주 성과도 달성했다. 대표적으로 중국 체리자동차와의 46시리즈 원통형 배터리 공급계약이 주목된다. 자국 기업 선호가 강한 중국 OEM과 체결한 첫 원통형 수주로, 기술력과 고객 기반을 동시에 입증했다는 평가다.
또한 북미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에서 LFP 기반 ESS 롱셀 양산도 본격화됐다. 회사는 “현지 생산 능력을 바탕으로 고객 대응력을 높이고, 제품 다변화를 통해 추가 수주를 확대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이선율 기자
melody@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