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후발주자 지방銀, 10월 공동 거버넌스 구축 목표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이 앞다퉈 인공지능(AI) 활용에 나서는 사이 뒤처져 있던 지방금융도 서둘러 뛰어들고 있다. JB·BNK·iM금융 등 지방금융 3사가 오는 10월 ‘공동 AI 거버넌스’ 구축을 완료하고 AI 기반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낸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들 3사는 지난 4월부터 거버넌스 구축 컨설팅을 진행해 내달 중순 완료한다. 구축이 끝나고 나면 개념검증(PoC)을 거쳐 현장 적용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공동 거버넌스의 핵심은 AI 활용을 위한 ‘표준 가이드라인’ 마련이다. 내년 시행되는 AI 기본법을 앞두고 내부통제와 소비자 보호 체계를 한꺼번에 갖추겠다는 포석이다.
JB금융은 지주 IT혁신부와 광주은행 디지털기획부가 중심이 되고, 리스크 관리·정보보호 부서까지 총동원했다. BNK금융은 새로 만든 AI 디지털전략부를 축으로 부산·경남은행이 가세했다. iM금융도 지주 차원에서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다.
세 그룹은 지역이라는 물리적 한계를 넘어 매주 정례회의를 열고 협업 플랫폼을 통해 문서와 데이터를 공유하며 속도를 끌어올리고 있다.
지방금융이 늦게나마 합종연횡에 나선 건 위기감 때문이다.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은 이미 여신 심사, 사기 탐지, 마케팅 전반에 AI를 투입하며 경쟁력을 높였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각 그룹이 따로 대응했다면 인력과 비용 한계 때문에 성과를 내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공동 거버넌스는 지방금융이 살아남기 위한 전략이자 신뢰 회복을 위한 선택”이라고 말했다.
거버넌스 구축 이후엔 각 그룹별 전략 수립을 계획하고 있다. JB금융은 해외 손자회사부터 AI·클라우드를 도입해 보안 필터링을 강화하고, AI 코딩 에이전트와 통합 관리 플랫폼을 개발한다. 제약이 덜한 해외 법인에서 먼저 시험해 성과를 낸 뒤 국내로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BNK금융은 공동 거버넌스와 함께 그룹 차원의 AI 전략 컨설팅도 병행 중이다. 올해 하반기 ‘AI 대전환’을 앞세운 만큼 AI사업팀과 디지털기획부를 통합해 AI 디지털전략부를 신설하는 등 기반을 닦았다.
은행권 관계자는 “내년 시행되는 AI 기본법에 맞춰 거버넌스를 통해 법적·윤리적 기준을 세우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됐다”며 “지역 특화 서비스를 넘어 다양한 협력 모델로 AI 전략을 넓히려는 시도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