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려고 갈아탔나”… KT·LG U+ 해킹 의혹에 고객만 ‘부글부글’
해킹 의혹에 휩싸인 KT(대표 김영섭)와 LG유플러스(대표 홍범식) 고객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특히 지난 4월 SK텔레콤(대표 유영상) 해킹 사태 당시 보안을 이유로 번호이동을 택했던 고객들은 허탈감을 호소한다.
4일 포털사이트와 휴대폰 커뮤니티에는 KT와 LG유플러스 해킹 의혹에 대한 불안과 비판이 쏟아졌다. 이용자들은 “왜 이렇게 해킹에 취약하냐”, “KT와 LG유플러스가 털렸다면 즉시 대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서울YMCA 시민중계실은 이날 “현행 정보통신망법은 기업의 자진 신고가 있어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민관 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정밀 조사에 착수할 수 있다”며 “이 때문에 두 통신사 가입자들이 큰 불안을 겪고 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직접 나서 즉각적이고 철저한 조사를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SK텔레콤 해킹 사태를 계기로 KT와 LG유플러스로 갈아탔던 고객들의 실망은 더 크다. 보안 불안을 이유로 통신사를 옮겼는데 옮긴 통신사에서도 의혹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7월 중순 SK텔레콤 위약금 면제 기간에 번호이동을 한 직장인 A씨는 “옮긴 시점에 유출 사고가 일어난 것은 아니지만 이런 의혹이 있었다면 통신사를 바꾸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SK텔레콤 털렸다고 옮긴 사람들은 어쩌냐”, “KT 갔다가 또 털리느니 그냥 버티는 게 낫다”는 반응이 이어졌다.
SK텔레콤이 해킹 사실을 공개한 4월 19일부터 위약금 면제 종료일인 7월 14일까지 번호이동 순감 규모는 72만명에 달한다. 이들은 대부분 KT와 LG유플러스로 옮겼다. 당시 일부 대리점은 SK텔레콤 해킹 사태를 마케팅에 활용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그러나 KT와 LG유플러스는 “해킹 정황이 없다”며 자진 신고를 거부하고 있다. 자진 신고는 곧 전수 조사를 의미하기 때문에 쉽게 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정부는 제한된 범위에서 상황 파악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두 통신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를 진행 중이다. 개인정보위 역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개인정보위 관계자는 “유출 정황이 명확해지면 조사에 착수할 수 있다”며 “현재는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