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과기장관 “KT 해커, 이름·생년월일까지 확보 가능성↑”

2025-09-11     김동명 기자

KT 이용자 수천 명이 무단 소액결제 피해를 입은 사건과 관련해 해커가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뿐 아니라 이름·전화번호·생년월일 등 핵심 개인정보까지 확보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정부도 뒤늦게 사태의 심각성을 인정하며 제도 개선을 포함한 근본 대책 마련에 나섰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1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지사를 방문해 고객 무단 소액결제 침해사고 관련 조치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 뉴스1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노종면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IMSI 외에 더 많은 고객 정보를 해커가 갖고 있는 것 아니냐”고 묻자 “그렇게 추정된다”고 답했다.

이는 단순 통신 식별정보 유출만으로는 수백 건에 달하는 실제 결제가 이뤄지기 어렵다는 지적을 뒷받침한다.

KT는 이번 사건으로 약 1억7000만원의 피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가짜 기지국) 신호를 수신한 고객은 약 1만9000명이며 이 가운데 5561명의 IMSI가 유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노 의원은 “이름과 전화번호 등 핵심 정보가 털리지 않고서는 발생하기 힘든 피해가 이미 수백 건 발생했다”고 우려했다.

정부의 초기 대응 지연도 도마에 올랐다. 배 장관은 “KT가 처음에는 스미싱 피해로 단순 판단한 것 같다”며 “과기정통부도 사전 모니터링과 KISA 신고 후 조사단을 꾸렸지만 초동 대응이 늦었다는 점은 반성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는 신고가 있어야 정부가 움직일 수 있는 법 체계를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도 덧붙였다.

KT는 이날 서울 광화문 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김영섭 대표가 직접 사과했다. 김 대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100% 금액을 보상하고 위약금 면제와 무상 유심 교체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배 장관은 “KT 대표로부터 모든 피해 금액 보상과 위약금 면제 등 적극 대응을 약속받았다”며 “증거 축소·은폐 의혹이 드러나면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김동명 기자

simalo@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