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시대 늦으면 뚫린다”… 정부, PQC 전환 로드맵 시동
정부가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해 국가 보안 체계 전환에 나섰다. 고성능 양자컴퓨터가 기존 암호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정부는 양자보안 기술 도입을 골자로 한 대응 전략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우리 정부는 고성능 양자컴퓨터에 대응해 기존 암호체계를 양자내성 기반 구조로 전환할 계획이다. 2029년까지 새로운 암호체계를 적용하고 2030년까지는 기관별 전환 로드맵을 마련한다. 이후 2035년까지 기술 및 정책 지원 체계를 구축해 국가 전반의 안전한 암호 환경을 조성한다. 이는 양자컴퓨터가 기존 암호체계를 무력화하는 사태를 막기 위한 국가 차원의 중장기 대응 로드맵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내년부터 본격적인 투자에 나선다. 36억원 규모의 예산을 확보해 위성 양자키분배(QKD), 양자내성암호(PQC)-QKD 하이브리드, 자동화된 PQC 지원 등에 투자한다. 여기에는 양자내성암호와 양자키분배 기술의 성숙도 제고, 하이브리드 기술의 확산, 전 영역 보안 강화, 시장 창출, 정부 가이드라인 마련 등이 핵심 과제로 제시됐다.
국가정보원은 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사이버 서밋 코리아 2025’에서 신속한 대응 체계 구축 계획을 밝혔다. 국가정보원은 양자컴퓨터와 같은 해킹 위험의 부상, 드론 등 모빌리티 분야로의 보안 범위 확산에 대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국가망보안체계(N2SF) 기반의 신기술 및 공공데이터 활용 ▲범국가 차원의 양자내성암호 전환 종합 추진계획 수립 ▲모빌리티 분야 보안체계 정립 ▲우주시스템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마련 등이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이달 열린 양자보안 현장 간담회에서 “양자 시대를 앞두고 견고한 보안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다”라며 “이는 하루아침에 이룰 수 있는 일이 아니며, 앞으로 10년에 걸쳐 준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류 차관은 “양자보안은 국가 보안 역량을 한층 강화할 미래의 핵심 동력”이라며 “국가, 지역, 개인 모두가 양자 시대에 필수적인 보안 암호체계를 준비하는 데 있어 다른 나라보다 뒤처지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홍주연 기자
jyhon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