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경제학자 “韓, 트럼프에 488조원 주느니 수출업체 지원이 낫다”
韓日 무역 합의, 트럼프에만 유리한 불공정 거래
미국의 경제정책연구센터(CEPR)가 한국과 일본이 미국과 타결한 무역 합의에 대해 “어리석은 결정”이라 평가했다. 특히 한국이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 위해 3500억달러(약 488조원) 규모 대미 투자를 제안한 것에 대해, 투자액의 20분의 1만 써도 실제 피해에 대응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딘 베이커(Dean Baker) CEPR 선임경제학자는 11일(현지시각) 올린 글을 통해 “일본과 한국이 관세를 낮추는 대가로 각각 5500억달러(약 766조원)와 35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한 것이 트럼프의 표현대로라면, 투자 선택은 매우 어리석은 선택”이라 밝혔다.
그는 한국의 상황에 대해 “한국은 지난해 GDP의 약 7.3% 정도인 1320억달러 규모의 상품을 미국에 수출했다. 15% 관세로 수출이 5% 감소하면 규모는 1250억달러 정도다. 여기서 25% 관세가 적용돼 수출이 10% 더 줄면 그 규모는 125억달러 정도고, GDP의 0.7% 정도에 해당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트럼프는 한국에 125억달러 수출 규모 보전을 위해 3500억달러 투자를 요구한 것”이라며 “이 투자 비용의 20분의 1 정도만을 수출 손실로 인해 피해를 입은 기업과 노동자를 지원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일 것”이라 제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신뢰도 또한 우려점으로 꼽혔다. 딘 베이커는 “트럼프는 거래에 얽매이지 않는다”며 “이 협의 이후 내년에 다시 새로운 조건을 받아들여야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중국 견제를 위한 군사적 지원을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선택이라는 의견에 대해서도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를 들며 ‘어리석은 전략’이라 평했다.
현재 한국과 일본이 직면한 상황이 유럽과는 다르다는 점도 지적했다. 딘 베이커는 “유럽의 총 GDP는 러시아보다 5배 이상 크고, 러시아를 막을 수 있는 시간을 벌 수 있다”며 “한국과 일본은 다르다. 대만을 합쳐도 경제 규모가 중국의 3분의 1도 되지 않는다. 미국의 지원을 기대할 수 없다면 중국과 어느 정도는 합의해야 할 것”이라 전망했다.
한편, 한국은 지난 7월 말 미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하며 미국이 한국산 수입품에 부과하던 상호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낮추는 대신, 한국은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 3500억달러 투자에 대해 투자처와 수익 배분에 대한 이견 등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권용만 기자
yongman.kw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