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해킹 없었다”던 KT 김영섭·LG U+ 홍범식, 결국 국회 청문회장 선다

국회 과방위, 24일 청문회 개최…프랙 보고서 이어 소액결제 의혹 집중 추궁 예상

2025-09-15     김광연 기자

KT와 LG유플러스 대표가 해킹 사고 의혹과 관련해 국회 청문회에 선다. 앞서 SK텔레콤 유영상 대표가 출석한 데 이어, 통신 3사 최고경영진 모두가 증언대에 오르게 됐다.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9회 국회(정기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 뉴스1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는 9월 24일 KT와 LG유플러스의 해킹 사고와 관련한 청문회를 개최하고 KT와 LG유플러스에 증인 출석을 요구했다. 청문회에는 양사 대표를 포함한 주요 관계자들이 출석해 책임 소재 등에 대한 질의를 받을 예정이다.

2023년 8월 취임한 김영섭 KT 대표는 지난해 과방위 국정감사에 이어 2년 연속 국회에 출석한다. 2024년 12월 취임한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는 이번이 첫 국회 출석이다.

앞서 SK텔레콤 유영상 대표는 지난 4월 국회 과방위 방송장악 청문회와 5월 유심 정보 유출 관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업계 관계자는 “KT는 이미 출석을 통보받았고, LG유플러스도 협의 끝에 대표가 출석하는 것으로 조율이 된 상태다”라며 “청문회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관계자들도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는 “청문회가 열리는 것은 맞지만, 각 통신사 대표가 실제 출석할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현재 KT와 LG유플러스는 침해 사고 의혹의 중심에 서 있다. 8월 8일 미국 해킹 전문 매체 ‘프랙(Phrack)’은 KT와 LG유플러스의 내부 정보가 외부로 유출됐다고 보도했다. 이후 과기정통부와 KISA는 두 회사에 침해 정황이 있다고 보고 자진 신고를 권고했다. 하지만 두 회사는 “자체 조사 결과 침해 정황이 발견되지 않았다”며 이를 거부했다.

현행법상 자진 신고가 있어야만 과기정통부 주도의 민관합동조사단 구성이 가능하다. 하지만 두 회사가 자진 신고를 거부하면서 민관합동조사단 구성이 무산됐고, 이에 따라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기 어렵게 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가운데 KT의 사건 은폐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과방위 내부에서는 “청문회를 열어야 한다”는 요구가 잇따랐다.

KT는 별건으로 진행된 소액결제 침해 사고와 관련해 결국 9월 8일 과기정통부에 자진 신고했다. 정부는 이 사고로 인해 9월 10일까지 총 278건, 약 1억7000만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9월 10일 KT와 LG유플러스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KT는 조사 하루 뒤 “고객 5561명의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가 유출됐다”며 개인정보위에 자진 신고했다. 김영섭 대표는 기자회견을 열고 “KT를 아껴주시는 국민과 고객, 유관 기관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정말 죄송하다”며 “피해자들에게 100% 보상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