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이드,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 공식화

단독 발행 아닌 컨소시엄 기반… 스테이블코인 뱅크·예탁원 필요

2025-09-18     천선우 기자

위메이드가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 생태계 조성에 나섰다. 단독 발행이 아닌 컨소시엄 형태다. 위메이드는 자체 메인넷을 공개하며 인프라 구축에 착수한 가운데 생태계 확산을 위해서는 공공성과 편의성을 갖춘 ‘스테이블코인 전문 은행’과 ‘가상자산 예탁원’ 설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석환 위메이드 부사장이 18일 서울 중구 앰배서더 풀만 호텔에서 열린 '프로젝트 스테이블 원' 행사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 천선우 기자

위메이드는 18일 서울 중구 앰배서더 풀만 호텔에서 ‘프로젝트 스테이블 원’ 행사를 열고 원화 스테이블 코인 사업 진출을 공식화했다. 위메이드는 이 자리에서 ‘K-금융의 세계화’를 핵심 메시지로 내세웠다. 또 원화 스테이블 코인의 대중화를 통해 불편함과 불안감을 해소하겠다는 목표도 밝혔다. 

김석환 위메이드 부사장은 이 자리에서 “K-컬처의 성공 사례처럼 원화 스테이블코인 또한 혁신적인 플랫폼과 만나 K-금융 한류를 창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부사장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가져올 금융 혁신 사례로 ▲거래 추적을 통한 투명성 확보 ▲정부 지원금 및 세금 징수 등 행정 효율성 제고 ▲소상공인 등 금융 포용성 확대 ▲저렴하고 빠른 실시간 국제 송금 등 결제·정산 시스템 등을 제시했다.

김 부사장은 “대중화 속도를 높이기 위해 정부와 국회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현재 많은 이들이 스테이블코인을 불편하고 불안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 공공성을 갖춘 ‘스테이블코인 뱅크(가칭)’ 설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관련 법령이 갖춰지더라도,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자리잡기 위해서는 이용자 편의를 제공하고 관리·감독 역할을 수행할 전문 기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안전한 키 관리, 가상자산 금융 기능 강화, 기존 디지털 금융 서비스 수준의 고객 경험, 금융 컴플라이언스 기능, 수신·여신 기능 등을 갖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부사장은 ‘가상자산 예탁원’ 설립도 제안했다. 그는 “스테이블코인뿐 아니라 토큰화 자산 전반을 공공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오프체인 자산을 온체인으로 옮길 때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위메이드는 스테이블코인 전용 블록체인 메인넷 ‘스테이블 원’을 공개했다. 회사는 10월에는 오픈소스를 공개하고 11월 테스트넷 오픈, 2026년 1분기 정식 출시할 계획이다.

김 부사장은 “현재 미국을 제외하면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뚜렷한 강자가 없다”며 “지금 우리가 차별화해 정착시킨다면 예상보다 빠르게 금융 중심 국가로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책 당국과 국회 입법 관계자들이 적극 검토해 제도·정책 지원이 신속히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천선우 기자
swchu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