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KT 정부 조사 방해 의혹 내사 착수

2025-10-16     김광연 기자

KT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를 고의로 방해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경찰이 입건 전 조사(내사)에 착수했다.

KT 무단 소액결제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법 기지국 아이디가 20여개 추가 발견된 것으로 알려진 16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앞을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 뉴스1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16일 경찰청으로부터 해당 사건을 배당받아 내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경찰은 KT가 정부 조사를 의도적으로 방해했는지 여부를 면밀히 들여다 볼 방침이다.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T의 무단 소액결제 해킹 사고와 관련해 정부 조사를 방해한 정황을 확인하고 10월 2일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KT는 해킹 관련 서버 폐기 시점을 허위로 제출했다. KT는 국회에 “8월 1일 해킹 관련 서버를 폐기했다”고 보고했지만, 실제로는 8월 1일 2대, 8월 6일 4대, 8월 13일 2대 등 총 8대를 순차적으로 폐기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폐기 서버의 백업 로그가 존재했음에도 이를 9월 18일까지 과기정통부 조사단에 보고하지 않았다.

과기정통부는 KT가 허위 자료를 제출하고 증거를 은닉하는 등 정부 조사를 방해할 의도가 있었다고 판단했다. 과기정통부는 또 “KT의 무단 소액결제 해킹 사고 초기 대응이 부실했고, 불법 펨토셀 장비가 KT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등 관리 체계도 허술했다”고 지적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