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헌 “로보락 개인정보 무단수집…보안인증 강화해야” [국감2025]

2025-10-21     김광연 기자

정부가 로보락 등 중국산 로봇청소기의 국민 개인정보 무단 수집을 사실상 방관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상중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정부 관계자들이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해킹 관련 소관기관 국정감사에서 출석해 있다. / 김광연 기자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해킹 관련 소관기관 국정감사에서 “국내 점유율 1위 로보락 제품에는 카메라와 마이크가 설치돼 있고 블루투스가 연결돼 있어 내부 데이터를 모두 수집할 수 있다”며 “해커가 마음만 먹으면 원격으로 카메라를 조종할 수 있어 외부 유출 위험이 크다”고 우려했다.

그는 “로보락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보면 ‘귀하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중국에서 수집·처리한다’고 명시돼 있다. 즉, 개인정보가 중국으로 전송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상중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은 “현재 사물인터넷(IoT) 보안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KISA에 위탁해 IoT 보안 인증제를 시행 중이다.

이정헌 의원은 “우리나라 IoT 제품 생산 업체가 약 3000곳에 달하지만 올해 인증을 신청한 곳은 13개에 불과하고, 지난해에도 33개뿐이었다”며 “이 중 해외 업체는 단 한 곳도 없어 제도가 사실상 유명무실하다”고 비판했다.

이상중 원장은 “현재는 자율 인증제이지만, 의무화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의원님 지적에 공감한다”며 “과기정통부도 지난 9월 한국소비자원과 함께 국내외 로봇청소기의 보안 실태를 점검해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