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KT 대표 “해킹 사태 수습 후 책임질 터” [국감2025]
KT의 무단 소액결제 해킹 사고와 관련해 정부가 수사를 의뢰한 가운데, 김영섭 대표가 사태 수습 이후 경영 책임을 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우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해킹 관련 소관기관 국정감사에서 “오죽했으면 과기정통부가 수사 의뢰를 했겠느냐”며 KT의 부실 대응을 질타했다.
김영섭 KT 대표는 “국민들께 큰 걱정을 끼치고 고객 불안감을 야기해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현재 가장 시급한 일은 사태 수습이라고 생각한다. 일정 수준의 수습이 이뤄진 뒤에는 최고경영자로서 총체적인 경영 책임을 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T의 무단 소액결제 해킹 사고와 관련해 정부 조사를 방해한 정황을 확인하고 10월 2일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KT가 해킹 관련 서버 폐기 시점을 허위로 제출한 것이 드러나서다.
KT는 국회에 “8월 1일 해킹 관련 서버를 폐기했다”고 보고했지만, 실제로는 8월 1일 2대, 8월 6일 4대, 8월 13일 2대 등 총 8대를 순차적으로 폐기했다. 또한 폐기 서버의 백업 로그가 존재했음에도 이를 9월 18일까지 과기정통부 조사단에 보고하지 않았다.
과기정통부는 KT가 허위 자료를 제출하고 증거를 은닉하는 등 정부 조사를 방해할 의도가 있었다고 판단했다. 또 KT의 해킹 사고 초기 대응이 부실했고, 불법 펨토셀 장비가 KT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등 관리 체계가 허술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국감에는 김영섭 KT 대표 외에도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가 출석했다. 4월 SK텔레콤에 이어 최근 KT와 LG유플러스에서도 해킹 사고가 발생하며 통신 3사의 보안 관리 부실이 도마 위에 올랐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