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 회장 선임 절차두고 수시 검사 꺼내든 금융당국… 금융권 긴장
BNK금융그룹의 차기 회장 선임을 두고 금융당국이 절차를 들여다보겠다고 밝히면서 금융권 내 긴장감이 돌고 있다. 신한금융그룹과 우리금융그룹 등 회장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는 다른 금융지주도 검사 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커지면서다.
22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BNK금융의 차기 인선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21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감원 국정감사에 “상황과 절차적으로 특이한 점이 많이 보여 계속 챙겨보고 있다”고 밝혔다.
BNK금융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는 지난 1일부터 16일까지 차기 회장 후보 접수를 시작했는데 휴일과 추석 연휴를 제외하면 실제 접수 기간이 4일에 불과해 ‘깜깜이 회추위’로 논란이 됐다. 짧은 후보자 접수 기간을 두고 일각에서는 빈대인 현 회장의 경쟁자를 최소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이 원장은 금감원의 검사 가능성도 내비쳤다. 그는 “내부 형식적 절차의 적법성은 있을지 모르겠다”면서도 “문제의 소지가 있으면 수시검사를 통해 문제점을 바로잡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지주회장이 되면 이사회를 자기 사람으로 구성해 일종의 참호를 구축하는 분들이 보인다”면서 “이렇게 되면 오너가 있는 제조업체나 상장법인과 다를 바 없게 되고 금융사의 고도의 공공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고 했다.
이어 “지배구조 모범 관행 가이드라인을 업권별로 시행하고 있다”면서 “그 가이드라인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보강하기 위해 이번에도 은행 라인을 통해 지주회사에 대해 공통적으로 연임이나 3연임과 관련해선 내부 통제 등을 강화하라는 방침을 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BNK금융 임추위는 이번 주 차기 회장 후보군 확정을 목표로 회의를 준비해왔지만, 국감과 금융당국이 수시검사를 꺼내들면서 일정 변동 가능성도 있다.
금융지주 가운데 내년 3월 회장 임기가 만료되는 신한금융과 우리금융의 회추위에도 관심이 쏠린다.
신한금융 회추위는 지난달 차기 회장 선임 절차를 일찌감치 시작했다. 추석 연휴 기간을 염두에 둔 것으로 11월 말 ‘숏리스트(압축 후보군)’을 추린 뒤 12월 초 사외이사가 모두 참여하는 최종 확대 회추위에서 최종 후보를 추천할 예정이다.
신한금융과 달리 우리금융은 아직 차기 회장 선임 절차를 시작하지 않은 상황이다. 최고경영자(CEO) 임기 만료 최소 3개월 전 경영 승계 절차를 시작해야 하는 만큼 시간은 남았지만 안정적인 절차 이행을 위해 내달 회추위를 가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