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들여 사놓고 못쓰는 출연연 기술, 3년간 73% 급증 [국감2025]

이정헌 의원 “시장 수요와 미스매칭… 인력 문제 해결해야”

2025-10-24     김광연 기자

정부 출연연구기관(출연연)에서 민간 기업으로 이전된 기술 중 사업화로 이어지지 못한 사례가 최근 3년간 73% 급증했다. 기술이전율도 2022년을 정점으로 하락세를 보이면서 출연연의 기술 사업화 구조에 근본적 한계가 드러났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정헌(왼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0월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를 하기 위해 보좌진으로부터 로봇청소기를 건네받고 있다. / 뉴스1

이정헌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2개 출연연의 ‘미활용 기술’은 ▲2021년 398건에서 ▲2024년 689건으로 73% 늘었다. 반면 ‘활용 준비 중’ 기술은 같은 기간 3244건에서 2544건으로, 상용화 성공 건수는 640건에서 431건으로 감소했다. 최근 5년간 기술이전율은 ▲2021년 64.5% ▲2022년 72.7%로 정점을 찍은 뒤 ▲2024년 36.8%까지 떨어졌다.

이 같은 흐름의 원인으로 전담인력 부족과 짧은 근속연수가 지적된다. 최근 5년간 22개 출연연의 전담인력은 평균 150명 수준에 머물렀고 기관별 편차도 컸다. ETRI는 34명, KIST는 9명, 국가보안기술연구소는 2.5명 수준이다. 평균 근속연수는 약 4년으로, 미국 공공연구소의 10년 이상에 비해 짧다. 잦은 보직 순환으로 전문성 축적이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이정헌 의원은 “출연연이 개발한 기술과 시장 수요 간 미스매칭으로 사업화 실적이 떨어지고 있다”며 “전담인력의 불균형과 짧은 근무 기간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식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은 “총괄 기술이전전담조직(TLO)을 출범해 수요·공급 미스매칭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