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1111곳 선거에 상시인력 고작 3명… “금품선거 방치” 질타
2023년 조합장 선거관리 전담기구 상시 인력 3명 인력 1명이 조합 370곳 담당
농협이 조합장 선거의 투명성을 높이겠다며 만든 ‘선거관리 전담기구’가 상시 인력 규모가 3명에 불과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 조합 수가 1100곳을 넘는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관리 기능이 작동하기 어려운 규모라는 지적이다. 조합장 금품 공약 논란이 불거진 상황에서 선거관리 체계가 ‘형식적 운영’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31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3월 치러진 제3회 동시 조합장 선거 대비를 위해 꾸려진 선거관리 전담기구의 상시 인력은 정규직 2명, 전문계약직 1명 등 총 3명뿐이었다. 농협은 2022년 7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약 1년 반 동안 전담기구를 운영하며 5억6100만원의 예산을 들였지만 실무 인력은 3명에 그쳤다.
농협은 2015년부터 조합장 선거를 중앙선관위에 위탁해왔다. 부정선거 가능성을 줄이겠다는 목적이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금품선거 논란이 반복되고 있다. 최근 서울중앙농협 김충기 조합장이 조합원에게 ‘금 15돈 지급’을 공약했다는 의혹까지 나오며 논란이 커졌다.
선거관리 인력 부족도 구조적 한계로 지적된다. 농협 전체 조합 수 1111곳을 기준으로 하면 상시 인력 1명이 370곳을 맡는 셈이다. 선거 직전 긴급 충원한 인력까지 포함해도 1인당 185곳을 담당해야 한다. 농협이 ‘자정 조직’을 만들었다고 하지만 실효성이 없다는 비판이 이어지는 이유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도 올해 국감에서 금품수수 의혹으로 집중포화를 맞았다. 강 회장은 2023년 말 중앙회장 선거 과정에서 농협 계열사와 거래하는 용역업체 대표에게서 1억원가량을 받은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2022년 율곡조합장 시절 2000만원 수수 의혹도 받는다.
이에 대해 농협중앙회는 “제4회 동시 조합장 선거에 대비해 전담기구를 조기 편성해 운영하겠다”며 “금품수수 등 위법행위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마련하고 관련 부처와 제도개선을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전대현 기자
jdh@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