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빅테크, 텍사스 집결… 구글도 데이터센터 3곳 신설
구글이 인공지능(AI) 수요 급증에 대비하기 위해 미국 텍사스주에 신규 데이터센터 3곳을 건립한다.
구글은 오는 2027년까지 텍사스주에 데이터센터 신설을 위해 400억달러(약 58조원)를 투자한다고 14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에 투자하는 데이터센터 3곳 중 1곳은 텍사스주 북단 팬핸들 평원에 있는 암스트롱 카운티에, 나머지 2곳는 텍사스주 서부 해스켈 카운티에 구축될 예정이다. 해스켈 카운티 데이터 센터 중 한 곳에는 신규 태양광 배터리·에너지 저장시설도 함께 신설된다.
구글은 기존 운영 중인 댈러스 인근의 미들로디언·레드오크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도 지속할 계획이다.
구글은 데이터센터가 에너지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 에너지 개발업체와 전력 구매 계약을 체결해 6200메가와트(MW) 이상의 신규 ‘에너지 임팩트 펀드’를 조성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순다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투자는 일자리 수천개를 창출하고 대학생과 수습 기술자에게 훈련 기회를 제공한다”며 “또 텍사스 전역의 에너지 경제성 개선 계획을 가속할 것이다”고 말했다.
미국 IT·AI 기업들은 텍사스주에 데이터센터 관련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는 오라클, 소프트뱅크 등과 추진하는 ‘스타게이트’ 데이터센터의 첫 부지로 텍사스주를 택했다.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모회사 메타 역시 텍사스주에 기가와트(GW)급 데이터센터를 짓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텍사스주에 5년간 사용할 컴퓨팅 용량 확보를 위해 100억달러(약 15조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텍사스주에 데이터센터 투자가 몰리는 이유로 풍부한 토지와 상대적으로 저렴한 에너지 가격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더불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내 투자 확대 압박 역시 기업들이 투자를 늘리는 이유 중 하나로 풀이된다.
이성은 기자
sele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