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5년간 국내 450조 투자… 평택 5라인 공사 착수
삼성은 향후 5년간 연구·개발(R&D)을 포함한 국내 투자에 총 450조원을 투입한다고 16일 밝혔다.
우선 삼성전자는 반도체 투자 확대에 나선다. 삼성전자는 최근 임시 경영위원회를 열고 평택사업장 2단지 5라인의 골조 공사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평택사업장 2단지에 새로 조성되는 5라인은 오는 2028년부터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또 삼성전자는 안정적인 생산 인프라 확보를 위해 각종 기반 시설 투자도 병행한다. 삼성전자는 향후 5라인이 본격 가동되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과 국내 반도체 생태계에서 평택사업장의 전략적 위상이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삼성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비수도권 지역 투자도 확대한다.
삼성SDS는 인공지능(AI) 인프라 확대를 위해 전남에 국가 컴퓨팅센터와 구미 AI 데이터센터 등 다거점 인프라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삼성SDS는 국가 AI컴퓨팅센터를 건립할 특수목적회사(SPC) 컨소시엄의 주사업자로 전남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이 센터는 오는 2028년까지 1만5000장 규모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확보하고 학계, 스타트업, 중소기업 등에 이를 공급해 글로벌 AI G3로 도약하겠다는 정부의 목표를 뒷받침한다.
또 삼성SDS는 경북 구미 1공장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건립할 계획이다. AI 특화 데이터센터로 리모델링할 예정인 이 데이터센터는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 관계사 중심으로 AI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 데이터센터는 오는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삼성전자는 올해 11월 초 인수 완료한 유럽 최대 공조기기 업체 플랙트그룹의 한국 생산라인 건립을 통해 AI 데이터센터 시장을 집중 공략한다. 플랙트는 한국 진출을 본격화하기 위해 광주시에 생산라인 건립을 검토 중이며 인력 확충도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삼성SDI는 이른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의 국내 생산 거점을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유력한 후보지는 울산 사업장을 검토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충남 아산사업장에 구축 중인 8.6세대 IT용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생산 시설에서 오는 2026년부터 제품을 본격 양산한다. 이 라인은 올해 말 시험 가동에 들어가 오는 2026년 중순경 IT기기에 들어가는 디스플레이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다.
삼성전기는 2022년부터 고부가 반도체 패키지기판 거점 생산 기지인 부산에 생산 능력 강화를 위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삼성은 신입사원 공개채용 등 신규 채용 외에도 다양한 사회공헌사업(CSR)을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에 적극 기여하기로 했다.
협력사와 상생 위한 실질적 자금 지원에도 속도를 낸다. 이를 위해 상생펀드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펀드를 적극 운용하고 협력사에 지급하는 인센티브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성은 기자
sele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