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의 아이폰 AS 정책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일반적인 휴대전화 구입은 단말기 구입 후 14일 이내라면 환불이나 새 제품으로의 교품을 받을 수 있으나 아이폰은 구입 당일에만 환불이 가능하고, 교품은 불가능 하다. 또한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제품 구입 시점이 1~2일 밖에 되지 않았더라도 해당 단말기를 수리 받는 것이 아닌 중고인 리퍼비시 제품을 받게 된다.

<> 한국소비자보호원에 접수된 AS 관련 민원

이처럼 타 휴대폰을 구입했을 때와는 판이하게 다른 시스템 때문에 일부 고객들의 항의가 이어지고 있다. 소비자보호원의 홈페이지에는 제품 출시 후 지금까지 50여 건의 민원이 접수가 될 정도로 제품 AS와 관련된 논란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 AS가 어떻게 진행이 되길래?

애플의 아이폰은 KT가 애플의 1년 워런티 정책에 따라 AS가 대행되고 있다. 제조사는 애플이지만 AS는 KT가 담당하고 있는 모습이다.

<> KT의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AS 정책

그런데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바로 4번과 5번 항목이다. 제품에 문제가 있을 때 KT는 4번 항목처럼 '새로운 폰'으로 교체를 해 준다는 공지를 하고 있을 뿐 어디를 보아도 재생품인 '리퍼비시' 제품을 준다는 말은 없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혼란스러울 수 밖에 없다. 특히 제품 구입 후 1개월도 되지 않은 단말기를 수리하는데, 공지와 달리 새 제품이 아닌 리퍼비시 제품을 받게 된다면 허탈감이 클 수 밖에 없다.

5번 항목도 논란거리다. 문맥 상 별다른 문제가 없을 지 모르지만, 아이폰을 구입한 그 날 제품 환불을 요청하지 않는다면 취소가 불가능하다. '애플이 정한 Warranty 기준에 한합니다'라는 문구에 따라 모든 AS 기준은 애플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는 말이다.

◆ 로마에서는 로마법을?

한국 휴대폰 시장의 특성만 따지면 애플의 AS 정책은 말이 되지 않는다. 국내 업계의 터줏대감인 삼성, LG, 팬택 등은 단말기의 수리를 접수 받으면 해당 제품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수리하는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 외산 브랜드인 모토로라도 국내 제조사의 정책을 따르고 있다. 따라서 그 자리에서 수리가 되기도 하지만, 수 일이 소요되기도 한다. 하지만 애플의 AS 정책은 이 같은 국내 문화와 너무도 다르다.

미국 등 해외에서는 휴대전화에 하드웨어상 문제가 발생할 경우 리콜 등의 조치가 취해지기도 하나, 애플은 1:1 교환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물론 새 제품은 아니지만 정상 작동하는 리퍼비시 제품이기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구입 후 며칠이 지나지 않은 상태라면 억울할 수 있지만 워런티 기간을 거의 채운 제품이라면 소비자가 더 이득이지 않냐는 논리다. 하지만 이에 익숙하지 않은 국내 소비자들의 불만은 잠재우기 어렵다.

환불과 관련된 문화도 극복하기 어려운 부분 중 하나다. 일반적으로 국내 업계에서는 구입 후 14일 이내라면 손쉽게 환불을 받을 수 있지만, 해외 시장에서 애플이 취하는 정책은 다르다. 일반적인 환불을 위해서는 restocking fee 즉 재고 확충에 따른 별도의 비용을 소비자가 지불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아이폰 구입 후 30일 이내라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별도의 비용이 단말기 가격의 15% 수준이다. 제품 가격이 80만원이라면 재고 확충 비용은 12만원이 된다. 이 같은 문화의 차이를 소비자들이 쉽게 받아들이기에는 어렵다.

애플이 국내 시장에서 판매한 제품은 아이폰이 처음은 아니다. 인기를 끌었던 맥 컴퓨터도 있고, 아이팟으로 대변되는 MP3P 제품도 있었다. 과거의 AS 정책도 현재와 거의 동일했고, 많은 논란이 있었다. 아이폰 만큼의 폭발적 관심을 받지 못한 제품들이었기에 AS가 좋지 않다는 평만 들어왔을 뿐 실질적인 고객 민원이 아이폰 만큼은 아니었다.

하지만 지금처럼 AS 관련 불만이 계속 된다면, 향후 아이폰의 인기가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 확신하기 힘들다. 오랜만에 잡은 KT의 호재가 오히려 화살이 되어 돌아오지 않을지 염려된다.

IT조선 이진 기자 miffy@chosunbiz.com
상품전문 뉴스 채널 <IT조선(it.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