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모두 소프트웨어로 돌아갑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소프트웨어라고 하면 단순히 CD 한 장에 들어 있는 것만이 소프트웨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인식을 바꿀 수 있도록 할 겁니다. 또 단순히 기술을 이야기하고 기존의 연구소 같은 이론 중심에서 탈피해 사회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그런 정책연구소가 되고자 합니다.”

 

김진형 초대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은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의 방향에 대해 이렇게 얘기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12월 한국 소프트웨어 정책의 미래를 설계할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초대 소장으로 김진형 KAIST 교수를 임명했다. 자칫 연구 소장직에 공백이 생겨 연구소는 빛을 잃을 뻔 하기도 했다. 다행히도 30년 이상을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발전을 위해 노력해 온 인물로 평가되고 있는 김진형 소장이 임명되며 거시적 관점에서 소프트웨어 정책을 펼쳐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는 KAIST 교수로 30여년을 재직하며 교육과 실무, 정책을 아우를 수 있는 인물로 평가된다. 관련업계에서는 그 만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에 어울리는 사람이 없다고 한다. 30년을 KAIST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학생들을 가르쳤고 또 앱센터 이사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위원장과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위원도 겸하고 있다.

 

 

사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설립 초기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애초 정부가 SW정책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일관되게 추진할 수 있도록 전담 연구소를 만들겠다고 했을 때는 업계가 한 목소리로 환영의 뜻을 비췄다. 하지만 실제 실행 안이 나오자 업계에서는 독립성과 전문성을 놓고 논란이 심했다. 때문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연구소장을 구하지 못해 계획대로 개소할 수 없었다. 김진형 교수 역시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이유로 연구소장직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김소장은 “이미 산하기관이 많고 유사 정책 연구를 하는 기관들도 많은 상황에서 자칫 정부의 정책 관련 세부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또 소장이 직원으로 있으면 제대로 된 정책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부는 정책연구소를 준 독립기구로 운영하기로 방침을 선회했다. 그리고 업계에서 지적한 문제점들을 모두 개선할 의지를 보였다. 이에 업계에서는 김진형 교수가 연구소장 적임자라고 적극 추천하고 나섰다.

 

김진형 소장은 “NIPA 부설이긴 하지만 업계의 요구대로 별도산하기관 형식을 띠고 있다. 또 별도의 인원과 예산으로 제대로 된 정책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며 “특히 이번 정부는 SW에 대한 애착이 강해 국내 소프트웨어 업계의 중요한 위치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오는 3월부터 정식으로 문을 열고 활동에 들어간다. 공식적으로 연구원 초빙 공고도 내고 개소 준비를 위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사무실을 얻고 조직체계를 잡기 위해 분주하다. 창립기념 국제워크샵도 계획하고 있다.

 

김 소장은 “제대로 급여를 주고 능력 있는 사람들을 모으고 싶다. 이를 위해 테뉴어 제도도 도입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테뉴어 제도란 대학에서 교수의 평생 고용 즉 종신재직권을 보장해 주는 제도다. 교수로 임용된 뒤 일정 기간 동안의 연구실적과 강의 능력 심사를 통해 결정된다.

 

그는 “우수한 인력이 자긍심을 갖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싶다”며 “자신의 연구실적과 능력을 통해 적정한 대가를 받을 수 있는, 동기부여를 확실히 줄 수 있는 그런 자리를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연구소가 개소하고 난 뒤에는 개방된 형태로 운영할 방침이다. 연구소 직원과 다양한 외부 전문가가 함께 과제를 제안하고 연구를 수행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연구보고서도 딱딱한 책 형태가 아니라 ‘테드(Ted)’, ‘인포그래픽’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해 누구나가 쉽게 볼 수 있고 알기 쉬운 방법을 찾아 접근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김진형 소장은 “외부인재와 내부인재가 골고루 섞여 최상의 팀을 구성하고 싶다”며 “골방에서 연구를 하는 형태가 아니라 다양한 인재가 서로 소통하며 토론하고 제대로 된 정책을 수립하여 정부가 손쉽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진상 기자 jinsang@chosunbiz.com
상품지식 전문뉴스 IT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