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조선 박상훈] 우리나라가 소프트웨어(SW) 중심사회로 신속하게 전환하지 않으면 글로벌 양극화 심화로 인해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 소장 김진형)는 5일 ‘SW 중심사회 : 의미와 대응방향` 이슈리포트를 발간했다.

 

보고서를 보면 SW 중심사회가 밝은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기술적 실업의 증가가 대표적인데, 인공지능과 로봇 활용이 확대되면서 기존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미국에서 702개 직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중 절반가량인 47%가 앞으로 10∼20년 내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 생태계 (그림=미래부)

 

그러나 SPRi는 이러한 어려움과 위협 때문에 SW중심사회로의 전환을 회피하거나 늦추면 더 큰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미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 시장이 통합되면서 글로벌 차원의 시장 경쟁이 심화하고 있어 SW 기술의 잠재력을 활용하고 위협요인을 최소화하느냐에 따라 개인과 기업, 국가의 경쟁력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SPRi는 SW 활용 촉진과 관련해 자동차, 항공, 조선, 가전, 의료기기 등 주력 제품과 SW의 융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저출산 고령화 문제의 해법을 찾거나 범죄 예방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SW 활용을 더 늘릴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디지털 인재 양성도 중요하다. 초중고 정규교육과정에서 정보과학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와 컴퓨터 프로그램 작성 능력 배양, SW 인력의 재교육과 경력 경로 제공, 사회·산업 분야별 전문가의 SW 활용능력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과 제도 마련에도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SW 산업 생태계 활성화 관련해서는 무엇보다 창업자와 SW 기업이 이익을 실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이를 위해 중소벤처 기업 간 인수합병(M&A) 지원 제도를 운용하고 대기업의 M&A 참여를 유도해 SW 전문기업의 이익 실현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SPRi 관계자는 “공공 SW 조달 제도를 기존 용역개발 대신 패키지 구매나 서비스 계약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며 “이를 통해 공공부문이 SW 제값 주기 문화를 만들고 SW 수요 기반 확충에 선도적인 구실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상훈 기자 nanugi@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