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모낭을 재생시키는 탈모치료 물질을 개발하면서 대머리 치료용 발모제 개발 가능성이 열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최강열 연세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윈트신호전달계'를 조절해 모발 생성을 방해하는 단백질(CXXC5)을 발견하고 이를 타깃으로 하는 재생성 발모제를 개발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윈트신호전달계는 세포 내에서 다양한 생리·병리 현상을 조절한다. 최근 발모 및 모발 줄기세포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발모를 조절하는 단백질과 구체 조절 과정은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CXXC5와 디셰벌드 결합을 방해하는 물질(PTD-DBM)을 개발했다. 이 물질을 윈트 활성화제와 함께 인간세포나 생쥐에게 처리 시 성체줄기세포 활성화와 함께 새로운 모낭이 재생되는 '재생성 발모효과'를 확인했다. 디셰벌드는 윈트신호전달계에서 세포 밖의 신호를 세포 안으로 매개해 전달계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털이 없는 부분에 28일간 PTD-DBM를 발라주자, 모낭이 건강해지며 털이 다시 났고, 윈트신호전달계를 활성화하는 화학물질인 '발프로산(VPA·valproic acid)'을 함께 바를 경우 발모 효과가 더 높아졌다.

최강열 교수는 "이 연구는 모발 형성 조절에 관련된 단백질을 발굴하고, 제어해 모발 재생을 촉진하는 신물질을 개발한 것이다"라며 "탈모 치료뿐 아니라 향후 손상된 피부조직 상처 및 아토피 치료에도 적용하고자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