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후 ESS 화재사고 2차 조사단이 배터리 결함을 화재 원인으로 지목하자 ESS에 배터리를 공급한 삼성SDI와 LG화학 등 업계는 "조사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조목조목 결과를 반박했다.

. / IT조선 DB
. / IT조선 DB
삼성SDI 측은 조사단이 화재원인으로 지목한 배터리는 화재 현장이 아닌 다른 현장의 배터리라고 반박했다. 회사 측은 지난해 말 조사단의 요청에 인천 영흥, 경남 합천에 설치된 제품을 전달했고 조사단은 이 제품을 분석해 발표내용에 포함했다는 것이다. 조사단이 분석한 내용은 화재가 발생한 사이트가 아닌 동일한 시기에 제조돼 다른 현장에 설치∙운영중인 배터리를 분석해 나온 결과라고 전했다.

큰 전압편차도 배터리의 화재 발생 조건이 아니라고 밝혔다. 조사단이 주장하는 큰 전압편차는 충전율이 낮은 상태, 즉 에너지가 없는 상태에서의 차이이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할 수 없다고 회사 측은 주장했다.

보호장치가 정상 동작하지 않아 화재가 발생했다는 조사 결과도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강원 평창 사이트에서는 배터리 보호장치가 정상 동작했다"며 "조사단이 제시한 운영 데이터는 화재 발생 3개월 전 데이터를 잘못 해석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LG화학도 강하게 반발했다.

LG화학 측은 "지난 4개월간 실제 사이트를 운영하며 가혹한 환경에서 자체 실증실험을 펼친 결과 화재가 재현되지 않았다"며 "조사단에서 발견한 양극 파편, 리튬 석출물, 음극 활물질 돌기, 용융 흔적 등은 일반적인 현상이거나 실험을 통해 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것으로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고체가 열을 받아 액체로 녹는 현상인 용융 흔적이 배터리에서 발견됐다는 조사단의 결과에도 LG화학은 반박했다. 회사 측은 "화재가 배터리로 전이됐을 경우 배터리 내 용융 흔적이 생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LG화학은 배터리를 ESS 화재 원인으로 보지 않지만, 산업을 위한 대승적 차원에서 고강도 종합 대책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회사 측은 난징산 배터리가 적용된 기존 국내 ESS 사이트 250여곳의 배터리를 교체하기로 했으며 비용은 모두 자체 부담한다고 밝혔다.

삼성SDI와 LG화학은 2차 조사위원회 결과에 앞서 지난해 고강도 종합안전대책을 발표하고 조치를 위한 충당금도 마련했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