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하루천자’ 글감은 1975년 <현대시학>을 통해 문단에 나온 시인 고정희(高靜熙, 1948~1991)의 시를 골랐습니다. 해남에서 태어나 198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로 꼽히는 고정희 시인은 전남일보 기자와 광주 YWCA 대학생부 간사 그리고 크리스천아카데미 출판부 책임간사와 가정법률상담소 출판부장을 역임했고, 여성신문 초대 편집주간으로 일했습니다.

고통을 부정하지 않고 오히려 이를 통해 더욱 강인해지고자 하는 시인의 소망을 담은 아래 시를 음미하고 필사해 보세요. /편집자 주

1975년 등단한 고정희는 타계하는 해인 1991년까지 모두 열 권의 시집을 상재(上梓)한 시인이다. 첫 시집 《누가 홀로 술틀을 밟고 있는가》(1979) 이후 《실락원 기행》(1981), 《초혼제》(1983), 《지리산의 봄》(1987), 《저 무덤에 푸른 잔디》(1989), 《아름다운 사람 하나》(1990) 등으로 지칠 줄 모르는 창작 여정을 보여주었다. 5·18광주민주화운동을 계기로 하여 전통적 남도가락과 씻김굿 형식을 빌려 당대 민중의 아픔을 드러내고 위안하는 장시(長詩)를 잇달아 발표함으로써 새로운 양식적 자각도 보여주었다. 자신의 시의 모체가 되어온 지리산 등반 도중 실족으로 타계하였다. 유고 시집으로 《모든 사라지는 것들은 뒤에 여백을 남긴다》(1992)가 있다. 오른쪽은 아래 시 ‘상한 영혼을 위하여’가 실린 시집 《이 시대의 아벨》(1983).
1975년 등단한 고정희는 타계하는 해인 1991년까지 모두 열 권의 시집을 상재(上梓)한 시인이다. 첫 시집 《누가 홀로 술틀을 밟고 있는가》(1979) 이후 《실락원 기행》(1981), 《초혼제》(1983), 《지리산의 봄》(1987), 《저 무덤에 푸른 잔디》(1989), 《아름다운 사람 하나》(1990) 등으로 지칠 줄 모르는 창작 여정을 보여주었다. 5·18광주민주화운동을 계기로 하여 전통적 남도가락과 씻김굿 형식을 빌려 당대 민중의 아픔을 드러내고 위안하는 장시(長詩)를 잇달아 발표함으로써 새로운 양식적 자각도 보여주었다. 자신의 시의 모체가 되어온 지리산 등반 도중 실족으로 타계하였다. 유고 시집으로 《모든 사라지는 것들은 뒤에 여백을 남긴다》(1992)가 있다. 오른쪽은 아래 시 ‘상한 영혼을 위하여’가 실린 시집 《이 시대의 아벨》(1983).
상한 영혼을 위하여 / 고정희

상한 갈대라도 하늘 아래선
한 계절 넉넉히 흔들리거니
뿌리 깊으면야
밑둥 잘리어도 새순은 돋거니
충분히 흔들리자 상한 영혼이여
충분히 흔들리며 고통에게로 가자

뿌리 없이 흔들리는 부평초 잎이라도
물 고이면 꽃은 피거니
이 세상 어디서나 개울은 흐르고
이 세상 어디서나 등불은 켜지듯
가자 고통이여 살 맞대고 가자
외롭기로 작정하면 어디든 못 가랴
가기로 목숨 걸면 지는 해가 문제랴

고통과 설움의 땅 훨훨 지나서
뿌리 깊은 벌판에 서자
두 팔로 막아도 바람은 불 듯
영원한 눈물이란 없느니라
영원한 비탄이란 없느니라
캄캄한 밤이라도 하늘 아래선
마주 잡을 손 하나 오고 있거니  

- 1983년 《이 시대의 아벨》 중


▶5월, 손편지로 따뜻한 감사의 진심을 전하세요

매일 아침, 하루천자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하루천자 캠페인은?

IT조선은 (사)한국IT기자클럽, (주)네오랩컨버전스, (주)비마인드풀, (주)로완, 역사책방과 함께 디지털치매를 예방하기 위한 ‘하루천자 쓰기’ 캠페인을 벌이고 있습니다. 캠페인은 매일 천자 분량의 필사거리를 보면서 노트에 필사하고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지난 필사거리는 IT조선 홈페이지(it.chosun.com) 상단메뉴 ‘하루천자'를 클릭하시면 볼 수 있습니다.

▶매일매일 두뇌운동! 내가 쓴 하루천자 기록에 남기는 방법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