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하루천자’ 필사 글감으로 신석정(辛夕汀, 1907~1974)의 시를 골랐습니다. 본명은 석정(錫正)이며, 아호는 석정(夕汀)으로, 전북 부안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의 전신인 불교전문강원(佛敎專門講院) 국어국문학과에서 수학했습니다.

신석정은 식민지시대 막바지 암흑기에 자신의 시들을 발표하지 않고 서랍 속에 처박아두었다가 해방이 되자 비로소 묶어 한 권의 시집을 펴냈는데, 《슬픈 목가(牧歌)》가 그것입니다. 고향 후배 시인 서정주에게 주었던 오늘의 시를 찬찬히 읽고 필사해 보세요. /편집자 주

전원적이고 목가적인 시를 주로 썼다고 평가되는 시인 신석정(왼쪽)은 1943년 서정주(徐廷柱, 1915~2000)에게 〈흑석고개로 보내는 시〉를 '정주에게'라는 부제를 달아 보낸다. 이때 신석정은 전북 부안에 살고 있었고, 부안 바로 옆 고창이 고향이었던 서정주는 1942년 아버지 장례를 치른 후 가산을 정리해 한강변 흑석정의 기와집으로 이사와 살고 있었다. 서정주는 흑석동으로 이사한 직후부터 일제의 대동아공영권 논리를 수용하고 전파하는 친일문학에 이미 빠져들기 시작했다. 신석정이 이 시를 쓴 이유도 고향 후배 서정주의 이런 변화를 감지하고 염려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이 시는 해방 이후 펴낸 시집 《슬픈 목가》(오른쪽)에 실렸다.
전원적이고 목가적인 시를 주로 썼다고 평가되는 시인 신석정(왼쪽)은 1943년 서정주(徐廷柱, 1915~2000)에게 〈흑석고개로 보내는 시〉를 '정주에게'라는 부제를 달아 보낸다. 이때 신석정은 전북 부안에 살고 있었고, 부안 바로 옆 고창이 고향이었던 서정주는 1942년 아버지 장례를 치른 후 가산을 정리해 한강변 흑석정의 기와집으로 이사와 살고 있었다. 서정주는 흑석동으로 이사한 직후부터 일제의 대동아공영권 논리를 수용하고 전파하는 친일문학에 이미 빠져들기 시작했다. 신석정이 이 시를 쓴 이유도 고향 후배 서정주의 이런 변화를 감지하고 염려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이 시는 해방 이후 펴낸 시집 《슬픈 목가》(오른쪽)에 실렸다.
흑석(黑石)고개로 보내는 시 / 신석정
- 정주(廷柱)에게

흑석고개는 어늬 드메 산골인가
서울서도 한강
한강 건너 산을 넘어가야 한다드고

좀착한 키에
얼굴이 까무잡잡하여
유달리 희게 들어나는 네 이빨이
오늘은 선연히 보이는구나

눈 오는 겨울밤
피비린내 나는 네 시를 읽으며
꽃처럼 붉은 울음을 밤새 울었다는 청년
그 청년이 바로 우리 고을에 있다

정주여
나 또한 흰 복사꽃 지듯 곱게 죽어갈 수도 없거늘
이 어둔 하늘을 무릅쓴 채
너와 같이 살으리라
나 또한 징글징글하게 살아보리라

- 1943 짓고, 1947년 대지사(大志社)에서 펴낸 시집 《슬픈 목가》에 실음.


▶매일 아침, 하루천자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하루천자 캠페인은?

IT조선은 (사)한국IT기자클럽, (주)네오랩컨버전스, (주)비마인드풀, (주)로완, 역사책방과 함께 디지털치매를 예방하기 위한 ‘하루천자 쓰기’ 캠페인을 벌이고 있습니다. 캠페인은 매일 천자 분량의 필사거리를 보면서 노트에 필사하고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지난 필사거리는 IT조선 홈페이지(it.chosun.com) 상단메뉴 ‘하루천자'를 클릭하시면 볼 수 있습니다.

▶매일매일 두뇌운동! 내가 쓴 하루천자 기록에 남기는 방법은?

관련기사